복지부가 의사-한의사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한의학의 교육과정의 표준화·일원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더불어민주당 오제세 의원은 11일 오전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의사-한의사에 대한 국가별 현황을 통해 갈등해결에 대한 의지를 물었다.
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오 의원의 다른 나라의 한의학 사례에 대해 "중국, 일본, 대만까지 한의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원화 돼 있는 경우는 드물고 하나의 통합체계로 이뤄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오 의원은 "우리나라에서의 의사-한의사 갈등은 교육과정이 나뉘어져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정부에서는 의료정책수립에도 방ㅎ가 되고, 국민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갈등을 없애기 위해 (의료)단일화가 논의되다가 중단됐는데, 장관이 이를 꼭 성사시켜야 하지 않겠는가"하고 물었다.
박 장관은 "의한정 협의체가 구성돼 상반 동안 열심히 의-한 협의를 진행해 협의체내에서는 표준화까지 합의문을 작성했다가 마지막 순간에 합의문을 갖고 회원들에게 추인받는 과정에서 실패했다"면서도 "작년까지 진행된 의한정 협의체에 비해 진일보한 것은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조금만 높이면 합의문 추인까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시간은 걸리더라도, 교육을 일원화해서 근본적 문제가 해결될 수있다고보고 그런 방향으로 진행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윤일규 의원은 같은날 보도자료를 통해 "과도한 의료비 부담, 선택의 혼란 등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이원화 체계를 하루빨리 끝내야 한다"면서 "복지부는 지켜만 보는 방관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역할을 해주길 바라며 논의가 지금처럼 진전되지 않을 경우 국회차원의 새로운 협의체를 구성할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