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련번호 등 의약품공급내역 보고와 관련한 정부 연구용역을 수행할 연구진이 확정돼 연구착수에 들어갔다.
2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6월 입찰 공고한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제도의 효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를 추진할 사업자에 이화여대 약대·목원대 컨소시엄이 최종 확정됐다.
컨소시엄은 8월 초부터 연구에 들어가 약 4개월간 진행해 12월 경 마무리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구진은 우선 의약품 공급내역 출하 시 보고 제도 도입 관련 비용·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의약품 공급내역 출하 시 보고를 위해 제약사, 도매업체 등 공급업체가 투입한 시설비용 및 인건비, 의약품 공급내역 출하 시 보고 관련 정부에서 제약사 등에 지원한 비용을 확인한다.
의약품 공급내역 출하 시 보고로 인한 의약품 공급업체의 생산관리, 마케팅, 재고관리 등 업계 편익 분석, 의약품 공급내역 출하 시 보고제도 도입으로 인한 불법, 위조의약품 유통 차단, 의약품 회수 효율화, 유통 투명화 등 사회적 편익 분석 등도 함께 이뤄진다.
더불어 의약품 공급내역 출하 시 보고제도 대안에 대한 비용 효과를 도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보고제도와 관련된 일련번호 표시 방법 이원화(RFID/바코드), 묶음번호 부착 의무화, 일련번호 보고 대상 의약품 조정,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제도 요양기관 확대 관련 비용 효과를 분석한다.
그외에도 의약품 공급내용 보고제도 발전 방안을 발굴하기 위한 방안도 연구될 계획이다.
복지부는 연구에 앞서 "2002년부터 제약사 및 도매업체에서 의약품 유통 시 공급내역을 보고하도록 하는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제도 운영하고 있다"며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제도 시행 과정에서 제도 운영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기돼 각각의 대안에 대한 합리적 분석을 통해 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대안 분석을 통해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제도 시행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을 최소화 하고, 비용을 합리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다"며 "기타,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제도의 개선 방안 및 의약품 유통정보 활용 방안도 함께 살펴보려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