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복지부 장관이 다국적 제약사의 '약가 횡포'를 막기 위해 세계 복지부 장관들과의 공동 대응을 추진한다.
최근 WHO에서 했던 기조연설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겠다는 설명이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지난 24일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다짐했다.
박 장관은 올해 5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17회 세계보건기구(WHO) 총회에서 '글로벌 기업'과 '의약품'을 화두로 기조 연설을 한 바 있다.
기조연설에서 박 장관은 보편적 건강보장 달성을 위해 '의약품 접근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일부 다국적 기업에서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무리한 가격 협상을 요구하는 행위에 대해 WHO 차원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공동 해결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 것이다.
박 장관은 "제17회 WHO 총회에서는 여러 형태의 장관회의가 있었는데, 기조연설에서 의약품 접근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며 "다국적 제약사의 약가 횡포에 대해 참석한 장관 대부분이 공감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러나 이전까지는 이를 다룰만한 뚜렷한 메커니즘이 없는 상황이었다"며 "다국적사 횡포를 막기 위한 정식 의제를 요구할 생각이다"라고 덧붙였다.
박능후 장관이 "이 같은 문제 의식을 갖게 된 직접적 배경은 최근 국내에서 한 다국적기업이 아무 근거 없이 몇배나 되는 약가를 올려달라고 요구하면서 '다른 나라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요구하는 것을 좋게 생각하라'는 주장은 말도 안 되는 반인륜적 행위"라고 질타했다.
박 장관은 "독점적 횡포가 너무 심하다. 결국 세계정부가 각국 정부와 공동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조직과 논의가 시작된다면 제약사가 자중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문제에 공감하는 주요 국가의 보건장관들과 함께 대책 마련 요구를 WHO 총회 개최마다 언급해 국제 이슈로 만들겠다는 것.
박능후 장관은 "우선 약가 횡포가 심한 제약사 의 명단을 세계적으로 공개해 비윤리적 행위를 드러내는 방안을 생각했다. 그것만 합의되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며 "다음 WHO 총회가 내년 5월에 열리는데 그 전까지 준비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팀에 오더를 내렸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물론 각국의 장관들로부터 지지 동의를 받는 국제적인 공조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면서도 "다음 장관이 왔을 때에 그 방향이 옳다면 천천히라도 진행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