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협회(회장 서정선)는 R&D비용 회계처리방식에 대한 업계 설문조사 결과발표와 업계 관계자 간담회를 28일 판교 사옥에서 개최했다.
R&D비용 회계처리방식에 대한 의견수렴은 지난 5월 9일부터 약 이주일간 바이오 및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진행했고, 총 26개 기업이 응답했다.
응답을 보낸 26개 기업은 전년도 매출 10억 미만이 24%, 10억~50억 미만 16%, 50~100억 미만 12%, 100~500억 미만 16%, 500~1,000억 미만 16%, 1,000 이상 16%로, 다양한 매출규모의 기업들이 고르게 응답했다.
기업규모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이 6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중견기업 19.2%, 대기업 11.5% 순으로 응답했다. 이들 기업 61.5%는 상장기업이었고, 나머지 38.5%는 비상장이었다.
또, 응답기업의 주요 연구개발 분야는 바이오신약이 29.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바이오시밀러 13.5%, 합성신약 10.8%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체외진단기기 및 유전체분석 등을 포괄하는 기타도 29.7%로 나타났다.
R&D자산화비율에 대한 응답은 0%가 가장 높게 나타나, 상당수 기업들이 R&D비용을 자산화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이어 30% 미만이 27.3%, 31~50%가 22.7%, 51~100%가 13.6% 순으로 나타났다.
회계처리기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4%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 신약, 바이오시밀러 등 연구개발분야별 회계기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8%가 찬성했고, 특히 바이오신약 분야에서 90.9%의 높은 찬성률을 나타내며 바이오신약 분야에 대한 회계기준이 필요하고 강력하게 응답했다.
R&D 단계별 비용자산화 적용기준에 대한 응답은 기업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임상1상 개시와 임상3상 개시가 각각 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임상 2상 개시 17.4%, 임상 2상 완료 8.7%, 품목허가 완료 후 8.7%, 임상3상 완료 4.3%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도 17.4%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R&D 자산화 기준을 정하지 말고 기업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하자는 의견도 포함됐다.
그 외 개별기업들의 다양한 건의사항도 접수됐다. A기업은 “창업 초기 기업의 경우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할 경우 완전한 자본잠식 우려와 손익구조 악화로 정부과제 수주 및 투자 유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해 창업생태계 위축도 우려된다”고 응답했다.
B기업은 “일률적인 회계기준 적용보다는 개별기업의 실적과 역량을 판단하여 회계 처리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또, C 기업은 “연구개발이 주업인 바이오기업에게 연구개발비의 자산처리를 제한하는 정책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고, D 기업은 “회계감리를 사후 적발보다는 기업과 감사인이 예방중심으로 회계처리방식을 지도해나가는 방향이 더 바람직하다”고 제시했다.
한편 이날 한국바이오협회가 업계의견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한 업계 간담회에는 바이오 및 제약분야 기업들과 벤처캐피탈 및 회계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은 “한 단계만 들어가면 굉장히 다양한 변수와 차별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는 바이오산업은 국내에서 이제 막 산업 개화를 시작한 시점”이라며, “산업 안착을 위한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논의는 일률적인 기준 보다는 산업적 특수성을 고려해 본격적으로 시작 돼야 할 때”이라고 강조했다.
01 | HLB-HLB생명과학,합병결정 철회.."주식매수... |
02 | GC녹십자,상반기 매출 8840억-영업익 1241%↑... |
03 | 온코닉테라퓨틱스,'자큐보정' 약물상호작용 ... |
04 | 비피도-롯데중앙연, 면역밸런스 조절 유산균... |
05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췌장암 항체신약 ‘PB... |
06 | 한독 경구용 파브리병 치료제 ’갈라폴드‘, 1... |
07 | 한국콜마, 'ODM 최초' 자외선차단제 임상 평... |
08 | 피플바이오,혈액 기반 파킨슨병 조기진단 기... |
09 | 강스템바이오텍-옵티팜,이종장기 이식 - 당... |
10 | 케어젠, 근육 성장 펩타이드 ‘마이오키’ 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