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즘 부동산 광풍이 불고 있다. 어디를 가나 집값 폭등 이야기고, 재건축 청약에 당첨되면 로또 당첨된거나 같다고들 한다. 새집 증후군이 이런 부동산과 관련된 이야기인가 솔깃 하신 분이 있다면 아쉽게도 그런 부동산 이야기는 아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새로 입주한 아파트에서 살게 되거나, 축하 반, 부러움 반으로 집들이를 가다보면 원인 모르게 눈이 따갑고 간지럽거나, 목이 칼칼해지고, 기침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평소에 알레르기가 없는 경우인데도 유난히 답답하거나, 피로하다면 새집 증후군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새집 증후군은 새로 지은 건물 안에서 지내는 사람들 중 이유 모를 불쾌감, 두통, 안구건조증, 피부가려움, 콧물 재채기 등 여러가지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이름지워진 증상이다. 영어로는 sick house syndrome, sick building syndrome, tight building syndrome, building related illness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엄밀히 따지자면 building이 아픈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므로 잘못 지어진 이름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으며, 원인을 정확히 모르겠고, 질병보다는 증상에 촛점을 맞추어 이야기 하는 경우는 sick building syndrome, 정확한 원인을 알고 이로 인해 특정 질병이 발생되었을 경우는 building related illness로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새집 증후군을 유발하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학성분의 자극, 미생물로 인한 오염, 불충분한 환기, 전기자기장 노출, 심리적 원인, 일조량 부족, 소음 등을 원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새로 지은 건물 내장제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극물질이 나오는데, 이러한 자극물질을 배출하는 대표적인 건축 자재중에는 합판, 바닥제, 페인트, 벽지, 카페트, 접착제 등이 있다. 여기서 나오는 자극물질 중 대표적인 것이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로 벤젠, 톨루엔, 아세톤, 클로로폼 등과 포름알데하이드 등이 있으며 이들은 발암물질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다행히 요즘은 친환경 자연소재를 내장제로 사용해 유해물질 노출을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는 추세다.
미생물로 인한 오염에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증식, 곰팡이 등 서식에 적합한 환경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청소하지 않은 가습기 등에서 균 증식, 오래된 타일 사이에서 서식하는 곰팡이, 에어컨 필터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와 곰팡이 등이 원인이 되며, 특히 에어컨에서 서식하는 레지오넬라 균은 폐렴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세균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적절한 환기도 중요한 요소로 제기되고 있다. 단열제 사용과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환기를 제한하였을 경우 실내공기 오염도가 증가해 건강을 위협한다고 알려졌다. 1970년대 석유수출국기구 (OPEC)에서 석유공급을 줄이면서, 조금이라도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건물의 단열을 강화하고, 환기를 줄이면서 이상한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숨을 쉬기 답답하고, 눈코입이 따갑고, 피부가 간지럽다고 호소했던 적이 있었다.
창문을 활짝 열고 환기를 하고 싶지만 요즘은 그마저도 쉽지 않다. 바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문제 때문이다. 예전에는 특정한 시기에만 중국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황사가 문제였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배기가스,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이 대기중 수증기와 반응하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증가 하고 있어 일년내내 외부공기의 오염으로 고생하게 됐다.
덕분에 공기청정기, 마스크 등의 공기 정화관련 시장은 급성장 하고 있는 상황이다.
어떻게 해야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고 관련질병을 막을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환기로, 실내공기가 교체되지 않고 장시간 머무르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요리를 할때는 렌지위 후드를 작동시켜 미세먼지와 냄새를 배출시켜야 한다.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 에서는 일반적인 사무실에서는 5 cfm( 1분에 약 140L 정도의 공기를 환기), 흡연실에서는 15 cfm (1분에 424L) 이상의 환기를 권장했다.
잘 갖추어진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은 물론, 또한 곰팡이 등의 서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젖고 습한 지역을 잘 청소하여야 하며, 에어컨이나 공기 정화기의 필터의 주기적인 청소도 필수적이다.
실내 내장재 선택도 중요한데 북유럽 연합학회( SCANVAC) 는 실내 공기질과 건축자재 품질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정해 놓았는데, 30분동안 실내 공기를 측정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이 제곱미터당 0.2mg, 포름알데히드( HCHO) 가 0.05mg 이하일때만 1등급(AQ1)을 부여한다. 건축자재도 1시간동안 배출하는 오염물질이 제곱미터당 40mg 을 넘지 않아야 A 등급 ( MEC-A) 를 부여한다.
우리나라도 친환경 건축자재를 정해,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에 따라 SE0, E0, E1, E2의 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어떠한 자재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다.
미세먼지로 고생하는 요즘, 실내에서 가족이 건강하게 지내기 위해서는 호흡기를 자극하는 원인중 하나인 새집증후군에 대해 생각하고 이에 대해 적절하게 관리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01 | HLB-HLB생명과학,합병결정 철회.."주식매수... |
02 | GC녹십자,상반기 매출 8840억-영업익 1241%↑... |
03 | 온코닉테라퓨틱스,'자큐보정' 약물상호작용 ... |
04 | 비피도-롯데중앙연, 면역밸런스 조절 유산균... |
05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췌장암 항체신약 ‘PB... |
06 | 한독 경구용 파브리병 치료제 ’갈라폴드‘, 1... |
07 | 한국콜마, 'ODM 최초' 자외선차단제 임상 평... |
08 | 피플바이오,혈액 기반 파킨슨병 조기진단 기... |
09 | 강스템바이오텍-옵티팜,이종장기 이식 - 당... |
10 | 케어젠, 근육 성장 펩타이드 ‘마이오키’ 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