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사회의 '약-정 협의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편의점 안전상비의약품 심의위원회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의료계와 정부가 진행하는 '의-정협의체'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약사사회 역시 약정협의체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16일 대한약사회 조찬휘 회장이 신년기자간담회에서 밝힌 '약정협의체 건의 제안' 계획은 이 같은 기대감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약정협의체 구성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없는 상황이다.
다만 '약-정 협의체'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안전상비약 관련 논의가 우선 정리돼야 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복지부 유력 관계자는 "약정협의체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안전상비약이 우선 해결되지 않으면 약정협의체에서 자유로운 논의구조가 마련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전상비약은 약사회가 참여한 가운데 심의위원회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겠다"며 "아직 차기 회의 일정은 정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약-정협의체'를 통해서는 전통적인 약국제도 개선 사항을 논의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 관계자는 "약정협의체는 약국을 베이스로 하는 약사(藥事) 관련 제도 개선을 논의하는 자리가 되지 않겠느냐"며 "특히 주요 약사 현안 중 시민단체와 이견을 보이는 것들이 주로 다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 복지부가 직접 주도할 방침을 밝힌 약사감시 역시 향후 약정협의체를 통해 진행될 약사(藥事) 제도 개선을 위한 자료 확보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최근 의료계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실무협의체'를 6차 회의까지 개최하고 심사기준 개선협의체 구성 결정 등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으며, 한의계도 정부와 공식적 협의체 운영을 본격화해 현안 해결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