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약개발부터 세제지원까지…2차 제약산업계획 윤곽
15일 공청회서 R&D·일자리·수출·제도개선 4개 목표 세부전략 공개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11-14 12:00   수정 2017.11.15 06:30
신약개발을 위한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과 인공지능 개발지원 등 R&D부터 제약 전문인력 양성, 수출확대, 세제혜택까지 광범위한 정부 제약산업지원 대책이 윤곽을 드러낸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오는 15일 라마다서울호텔에서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제약 관련 산·학·연(産․學․硏) 전문가 80여명이 지난 3월부터 참여한 '제약산업 중장기 전략기획단'에서 논의한 종합계획(안)을 공유하고, 제약 전문가 및 연구자로부터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청회에서 발표될 종합계획(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연구개발(R&D) △일자리 △수출지원 △제도개선 등 4개 부문으로 나눠 각 부문별로 세부 과제를 제안했다.

연구개발(R&D)= 신약 개발 역량 제고를 위해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을 구축하고, 첨단 바이오의약품 R&D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R&D 지원을 확대하며, 스마트 제조공정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한다.

또 지원체계 고도화를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신약 R&D를 활성화하고, 신약 재창출 연구 지원 및 대구·오송첨복단지 R&D 지원기능 강화할 계획이다.

희귀·난치질환 및 감염병 치료제, 백신 개발을 위한 R&D 지원을 확대하고 공익 목적의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지원하는 공익적 R&D도 함께 추진한다.

일자리 창출= 제약산업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창업 지원 방안이 있다.

양질의 생산·연구개발 인력을 확충하고, 제약산업 상용화·제품화 전문인력 및 임상시험 인력 양성을 강화하고, 제약산업 분야에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확대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제약바이오 기술창업·사업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창업기업에 대한 오픈 이노베이션을 지원하기도 한다.
 
수출 지원= 한국 제약산업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제약산업 글로벌 정보센터 운영, 정부 간 협력 확대를 통한 해외진출 플랫폼 구축을 실현한다. 제약기업 수출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생산 시설 고도화 및 해외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인증을 지원하고 해외 제약 전문가 활용, 수출방식 다양화를 통한 수출 확대를 추진한다.

현지 제약시장 진입 활성화를 위해 제약산업 글로벌 컨설팅을 지원하고, 해외 전략적 협력사 발굴 및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해외거점 설립을 지원한다.

제도 개선= 제약업계 생태계 변화를 반영해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기준을 개선하고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지원방안 마련, 선진 유통체계 확립에 노력한다.

민간투자 활성화 측면에서는 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를 위한 펀드를 조성하고, 세제 혜택을 확대한다.

더불어 첨단 바이오의약품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의약품 건강보험 등재 제도 보완, 임상시험 관련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


공청회에 참석한 복지부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제약산업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 신성장 동력으로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제약산업 육성을 국정과제로 삼고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번 공청회를 통해 다양한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종합계획을 완성하고, 향후 5년간 차질없이 추진해 우리나라가 제약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이날 공청회 의견수렴을 거쳐 종합계획(안)을 보완하고, 연내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연말까지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전략기획단은 현장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기 위해 제약기업 및 연구소 관계자, 대학․병원 연구자 또는 교수, 각종 민간 협회와 임상시험대행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관계자 등 총 80여명으로 구성했으며, 이번 종합계획(안) 마련을 위해 그간 50회 이상의 분과회의와 워크숍을 진행한 바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