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판매금지된 '원기소'와 '원기쏘'는 다른 제품"
서울약품공업 부도후 '원기소' 생산판매 실적 전무..서울약품 '원기쏘'는 리뉴얼 제품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08-18 04:58   수정 2017.09.22 12:49

 

1970~1980년대 ‘국민영양제’로 주목받은 ‘원기소’가 효능이 인정되지 않아 판매금지되며, ‘원기쏘’를 판매하는 서울약품(주)이 한바탕 홍역을 치른 가운데, 식약처가 ‘원기소’와 ‘원기쏘'는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식약처 담당자에 따르면 판매금지된 서울약품공업의 ‘원기소’는 현재 서울약품㈜에서 판매하고 있는 ‘원기쏘’와 건강기능식품 ‘추억의 원기소’와 상관이 없고,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판매금지 처분을 받았다.

그러면 왜 서울약품공업은 식약처가 요구하는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을까,

이유는 간단했다. 서울약품공업은 1980년대 중반 부도 이후 지금까지 ‘원기소’를 생산하거나 판매한 실적이 전무하고, 단지 식약처 공부상에만 ‘원기소’ 품목이 존재 할 뿐이기 때문이다.

현재 판매활동이 전무한 제품이 판매금지 발표된 것과 관련, 식약처는 행정절차대로 진행했다는 입장이다.  서울약품공업이 유령회사라는 사실은 이미 파악하고 있었으나 현행법상 서울약품공업이 ‘원기소’ 품목허가를 자진해서 취하하지 않는 한 식약처에서 강제로 삭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

지난 2012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약효재평가와 지난 7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의약품 품목허가 갱신제’(모든 의약품은 5년마다 의무적으로 식약처에 약효재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해 품목허가 갱신)로 자료 미제출시 허가취소 등 행정처분을 받지만,  ‘원기소’는 허가갱신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새로운 법적용에 따라 식약처의 행정처분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원기쏘’를 판매하고 있는 서울약품 관계자는 “  느닷없이 ‘원기소’ 시판금지 보도가 나오며 전화통은 불이 났고, 해명하느라 하루 종일 진땀을 흘렸다”며 “ ‘원기소’가 효능이 없었다면 과연 수 십년동안 국민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겠나. ‘원기쏘’는 과거 ‘원기소’를 리뉴얼한 제품으로 서울약품에서도 식약처 공부상에만 존재하는 ‘원기소’ 품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원기쏘’라는 제품명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건강기능식품인 ‘추억의 원기소’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또  “실체도 없는 유령회사에 내려진 행정명령으로 그동안 어렵게 ‘원기소’를 리뉴얼 출시해 판매하고 있는 ‘원기쏘’ 명성이 상처를 입었는데 ‘원기쏘플러스정’과 ‘추억의 원기소’는 식약처의 엄격한 품질관리 지침에 따르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알려드린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