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안아키'파문 촉발 한의사회원 윤리위원회 제소
위법사항적발시 최고수위 처벌 강조, 한의학적으로 검증안된 행위 논란
이종운 기자 news@yakup.co.kr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05-31 15:30   
최근 안아키(약안쓰고 아이 키우기) 논란을 촉발한 카페운영자가 한의사인점과 관련 위법사실이 확인 될 경우 한의사협회가 강력대응 하겠다고 천명하고 나섰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는 한의학적으로 검증 안 된 행위로 아동학대 논란을 빚고 있는 ‘안아키 카페’ 사태와 관련, 해당 카페 운영자인 김효진 원장을 협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했으며, 위법사항 적발 시 최고수위의 처벌을 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극단적 자연주의 건강관리 카페인 ‘안아키(약 안쓰고 아이 키우기)’는 영유아의 예방접종 거부, 화상에 온수찜질, 장염 등에 숯가루 처방, 아토피에 햇빛 쏘이기 등을 주장해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으며, 해당 카폐 운영자인 김효진 원장을 비롯한 70여명은 현재 아동학대방지 시민모임에 의해 아동학대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 조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안아키 카페와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행위들은 한의학적 상식과 치료법과는 어긋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대한한의사협회를 비롯해 한의학계를 대표하는 대한한의학회, 대한한방소아과학회에서는 해당 카페가 주장하는 내용들이 현대 한의학적 근거 및 상식과 맞지 않다는 것을 지금까지 배포한 보도자료 등을 통하여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의사협회는 안아키 카페 문제가 불거지자마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해당 카페 폐쇄조치와 함께 무면허의료행위 등 불법사항 적발 시 사법기관에 고발해 줄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어  “안아키 카페 사태로 약 6만 여명에 이르는 부모와 아이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거나 피해를 당할 뻔 했으며, 향후 잘못된 내용을 맹신하여 더 큰 피해를 보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하고 “더 이상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회 차원에서 김효진 원장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취할 예정이며, 법적인 고발도 조만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의사협회는 또 “안아키 카페와 관련한 한의계의 공식적인 입장을 거듭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아키 카폐 운영자가 한의사라는 이유만으로 이 사안을 마치 한의학 전체의 문제인 것처럼 호도하려는 악의적인 폄훼세력이 있다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는 "안아키 카페가 주장하고 있는 '예방접종 안 하기'·'고열 소아 방치'·'간장으로 코(비강) 세척'·'화상에 온수 목욕'·'아토피에 햇볕 쬐기' 등 의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방법은 절대로 따라 하면 안 된다"고 역설했다.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 카페'에서 주장하는 '자연치유법'에 대해 "가짜뉴스보다도 더 심각한 사기 행위"라고 매우 강하게 비판했다. 

의협은 지난 30일  '자연치유의 허와 실,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고 안아키 카페와 자연치유법의 문제점을 진단했다.

의협 산하 학술단체인 대한감염학회의 엄중식 학술위원(가천대길병원)과 이재갑 신종감염병 특임이사(한림대강남성심병원)가 발표자로 나섰다. 엄중식 학술위원은 "자연치유법은 백신이 발견되기 이전인 1800년대에 유행했던 치료법을 아무런 근거도 없이 적용하자는 허무맹랑한 주장에 불과하다"라며 "과학적 근거가 없는 잘못된 의료정보를 부모에게 제공하는 것은 명백한 사기 행위이므로 가짜뉴스보다도 죄질이 더 불량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백신 유해론'이 악영향을 미친 해외 사례를 설명했다.

영국의 소화기내과 의사 앤드루 웨이크필드는 1998년 홍역·볼거리·풍진을 예방하는 MMR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논문을 국제 학술지 란셋(Lancet)에 실어 '백신 유해론'에 큰 영향을 줬으나, 이후 이 논문의 데이터 조작이 드러나면서 2010년 논문이 철회되고 의사면허도 박탈됐다.

이재갑 특임이사는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영국에서 MMR 백신 접종률이 80% 미만으로 감소하면서 홍역이 크게 유행한 적이 있다"며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주장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대표적 사례"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