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올바른 생리용품 사용을 위한 안전 정보 제공
김용주 기자 yj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05-24 12:19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성들의 건강을 위하여 생리용품에 대한 국내 사용현황 결과와 제품 종류별 사용 요령 등 올바른 생리용품 사용을 위한 안전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 탐폰 등에 대한 사용현황, 사용기준 등과 함께 최근 새로운 생리용품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생리컵에 대한 인지도와 사용경험 등을 조사하여 생리용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10~60세 미만 가임 여성 1,028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국내 허가가 없는 생리컵은 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해외 체류, 해외 직구 등을 통해 구입·사용한 적이 있는 153명을 추가 조사했다.

생리용품은 생리혈을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의약외품 허가를 받아 판매되고 있으며, 현재 일회용‧다회용 생리대, 탐폰, 생리컵 등이 있다.

국내 생리용품(생리대, 탐폰) 생산실적은 2016년 2,979억원으로 2015년(2,739억원) 대비 8.8% 증가했고, 수입실적은 지난해 273억원으로 2015년(329억원)보다 20.5% 감소했다.

생리대 생산실적은 2016년 2,866억원으로 2015년(2,647억원)보다 8.3% 증가했고, 수입실적은 242억원으로 2015년(307억)보다 21.2% 감소했다. 이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탐폰 생산실적은 2016년 113억원으로 2015년(92억원)보다 22.8% 증가하였으며, 수입실적은 31억원으로 2015년(22억원)보다 40.9% 증가했다.

◇생리용품 사용실태 및 인식도 - 조사 대상자 1,028명 중 생리대와 탐폰, 생리대와 생리컵 등 생리용품의 중복 사용자가 217명이었으며, 중복 사용을 포함하여 현재 사용중인 생리용품을 실태 조사한 결과, 일회용 생리대(80.9%), 탐폰(10.7%), 다회용 생리대(7.1%), 생리컵(1.4%) 순이었다.

조사대상 중 생리용품을 구매 또는 사용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사용 편리성'(36.4%)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안전성'(27.8%), '기능성'(26%), '경제성'(9.7%) 등의 순이었다.

생리용품에 대한 만족도는 '사용편리성'과 '흡수 및 새는 정도'에서 각각 45.8%, 35.8%를 보인 반면, '구입 가격'(11.7%), '생리통 영향정도'(15.9%), '피부 트러블'(17.9%), '냄새 차단정도'(18.3%) 등의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생리용품 구입 시 원료명, 사용상 주의사항 등 제품정보를 반드시 확인하는 소비자는 7.7%, 가급적 확인하는 소비자는 37.7%, 전혀 확인하지 않는 소비자는 7.7%, 별로 확인하지 않는 소비자는 46.8%로 조사됐다.

제품정보를 확인하는 비율이 절반에 약간 못 미치는 45.4%로 소비자가 생리용품 제품포장 정보를 참조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 리컵 인지도 및 사용경험 - 생리컵에 대한 인지도는 응답자의 41.1%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연령별로는 10∼20대가 61%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으며, 30대(42.5%), 40대(21.1%), 50대(20.5%) 순으로 나타났다.

생리컵 사용 경험자(199명)를 대상으로 사용 시 경험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경제적 부담감소' 87.4%, '환경보호' 85.9%, '피부알레르기 예방' 85.4% 등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생리컵 비경험자 중 생리컵에 '호감이 있다'는 응답은 31.6%, '호감이 없다'는 응답은 68.4%로 조사됐다.

생리컵 사용에 대한 비호감 이유는 '체내 삽입에 대한 거부감'이 79.2%로 가장 많았고, '세척·소독 등 위생관리 문제'(59.4%), '사용방법 등 어려움'(57.3%) 등이 뒤를 이었다.

식약처는 안전한 생리용품 사용을 위해서는 생리 양, 활동량 등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알맞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하고 설명했다.

일회용 생리대는 생리 시에는 피부가 약해지고 습한 상태가 지속되며 생리대를 장시간 사용하면 통풍이 잘 되지 않아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생리 양이 많은 날을 기준으로 2~3시간마다 교체해야 한다. 

다회용 생리대는 세탁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므로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위생 관리해야 하며, 사용 후 가능한 빨리 세탁하고 완전히 건조시켜서 사용해야 한다.

탐폰은 여성 질 내에서 생리혈을 직접 흡수하는 제품으로 사용 전 손을 깨끗이 씻고 삽입 후 제거용 실을 자르지 말고 일부가 몸 밖으로 나온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착용 시 통증이나 이물감이 느껴지면 즉시 제거하고 새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다른 종류의 생리용품을 사용해야 한다. 

생리컵은 탐폰과 같이 질 내로 넣어 사용하는 제품으로 반드시 손을 청결히 한 후 사용하고 사용 후 제품을 깨끗하게 세척‧소독하는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생리용품에 대한 올바른 사용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철저한 안전관리를 통해 여성들이 안심하고 생리용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