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유방비대증 환자가 최근 급증하고 있으며 10~20대에서 연령층 환자가 가장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남성의 ‘유방비대증’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7년 8,640명에서 2011년 1만 1,070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6.4% 증가하였으며, 전체 총 진료비는 2011년 기준 총 21억 4천만원으로 연평균 7.3%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20대에서 유방비대증 발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50대 이상부터 연령이 올라갈수록 진료환자가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진료환자 중 10대 진료환자 수는 3,165명(28.6%), 20대 2,213명(20.0%)으로 1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진료환자 중 48.6%가 10~20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30~40대에서 발생률이 낮아지다가 50대 이상(1,032명, 9.3%)부터 증가했고, 60대 이상은 전체 환자 중 27.5%(3,051명)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진료형태별 ‘남성 유방비대증’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입원과 외래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입원은 2007년 1,073명에서 2011년 1,179명으로 연평균 2.4% 증가, 외래는 2007년 8,469명에서 2011년 1만1,001명으로 연평균 6.8% 증가했다.
‘남성 유방비대증’과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2007년 16억 1천만원에서 2011년 21억 4천만원으로 나타나 2007년보다 2011년 진료비가 약 3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환자 1인당 입원 진료비는 2007년 97만5천원(급여비 77만5천원)에서 2011년 111만6천원(급여비 88만3천원)으로 14.5% 늘었고, 외래 진료비는 2007년 6만7천원(급여비 3만6천원)에서 2011년 7만5천원(급여비 4만1천원)으로 11.9% 증가했다.
‘유방비대증’의 치료방법은 병력에서 원인이 밝혀지면 내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추적관찰을 못하는 환자나, 신경과민, 수개월간 관찰해도 퇴축의 기미가 없는 경우, 내분비계 이상 유무를 확인 하여도 이상이 없는 경우,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외형적 이유 때문에 수술을 원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