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약 구매 개수에 제한이 있다고?"
인터넷 상에 구입 개수 제한 및 가격 변동 등 확실치 않은 루머 돌아
이혜선 기자 l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2-06-12 06:03   수정 2012.06.12 07:18
사후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사전피임약 구매와 관련된 확인되지 않은 루머가 돌며 피임약 사재기에 불을 붙이고 있다. 

현재 인터넷 상에 떠도는 사전피임약 관련 루머는 대략 가지이다. 

우선 일인당 사전피임약 구매 개수가 3개 내지 5개로 제한돼 있다는 루머가 인터넷에서 퍼지고 있다. 

이같은 루머가 퍼지며 사전피임약을 구매하려는 여성들이 약국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구입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사전피임약을 구매하는데 있어 정해진 개수 제한은 없다. 다만, 각 약국에서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인당 구입개수를 제한할 가능성은 있다.  

또 다른 루머는 피임약의 가격이 오른다는 것.

이 루머는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 

만약 사전피임약이 기존의 재분류안대로 전문의약품으로 전환되면 앞으로 사전피임약은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만 구입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피임약이 필요할 때마다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진료비 등의 추가 지출이 일어나게 돼 약국에서 구입할 때보다 가격이 올라간다. 

그러나 당장 제품 자체의 가격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제약사가 물가상승분, 유통 마진 등을 고려해 제품 가격을 올릴 가능성은 있다. 최근 몇년간 사전피임약 가격은 꾸준히 오른 편이다.

이같은 사전피임약의 가격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 산부인과 의사들은 의약품 재분류안이 시행되면  "사전피임약에도 보험이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루머는 당장 7월부터 의약품 재분류안이 실시된다는 것이다. 

이 루머는 기존에 피임약을 복용하던 여성들이 가장 우려하며 사재기를 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이다. 실제로 사전피임약을 판매하는 제약사로 이같은 문의를 하는 전화도 걸려오고 있다. 

대표적인 사전피임약을 보유한 한 제약사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당장 처방전이 있어야만 사전피임약을 구입할 수 있는 것이냐는 문의를 해왔다. 이런 문의를 하는 소비자들에게 빠르면 7월 중에 확정될 것으로 보이고 확정되더라도 곧바로 약국 구입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안내하고 있다"고 전했다. 

식약청 역시 설명자료를 통해 "의약품 재분류안의 시행은 빠르면 내년 초가 될 것"이라며 재분류안이 7월에 확정되더라도 대국민 홍보, 제약사의 제품 변경 등을 고려해 6개월 가량의 유예기간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식약청의 설명대로라면 7월에 재분류안이 확정되더라도 올해까지는 해당 제품을 종전과 마찬가지로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현재 식약청은 의약품 재분류안은 오는 26일까지 재분류안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해놨으며 7월 6일까지 재분류안에 대한 의견접수를 받고 있다. 만약 이번 재분류안에 의견이 있는 사람이라면 7월 6일까지 의견을 접수하면된다. 

이같은 재분류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뒤에는 의약 전문가로 구성된 중앙약사심의위원회가 의약품 재분류안에 대한 자문을 하게 된다. 이같은 과정을 거친 후에야 재분류안은 비로소 확정된다. 

또한 피임약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는 점을 감안해 식약청은 오는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최로 여의도 화재보험협회 강당에서 오후 2시부터 피임약 재분류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의약품 재분류안이 발표된 이후 도매상 등 유통가에서는 관련 제품이 급속히 빠져나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 약국에서 실제로 사전피임약을 사재기 하는 환자는 많지 않다. 

그러나 인터넷 등에서 확실치 않은 루머가 빠르게 퍼져나가며 이번주부터 점차 피임약을 미리 구매하는 여성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