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민 유사체 시아누르산 위험성 노출
심재철 의원,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련 검사 도입 및 위해성평가 시급
임세호 기자 woods3037@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09-02-26 11:28   

WHO가 주최한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의 독성 및 위해성 평가 전문가회의'에서 중국의 멜라민 오염사고 역학분석 결과 멜라민 뿐만이 아니라 멜라민 유사체인 시아누르산도 함께 발견됐으며, 멜라민-시아누르산 혼합독성은 멜라민 단독의 경우보다 독성이 강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멜라민 유사체인 시아누르산은 멜라민과 같이 개별 독성은 낮으나 방광에 결석침착을 통해 독성을 유발하며, 일부 동물실험 결과에 따르면 방광결석 생성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중국산 식품에 대해서 멜라민 성분에 대해서만 검사를 하고 있으며, 멜라민 유사체에 대해서는 별다른 위해기준치를 갖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위해성평가와 기준치 검토가 시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한나라당 심재철의원(보건복지가족위, 안양동안을)에게 제출한 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WHO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의 독성·위해성평가 전문가회의' 자료에 의하면, 중국의 멜라민 오염사고 역학분석 결과, 2008년 11월까지 중국에서 분유의 단백질 함량을 높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첨가한 멜라민으로 인해 294,000명의 유아가 영향을 받았으며 6명이 사망했다.

문제분유 중 멜라민과 함께 멜라민 유사체인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등이 검출됐으며, 2007년 북미에서 발생한 고양이와 개의 급성 신장독성사건에서도 사료에 멜라민과 시아누르산이 동시에 검출된 바 있다.

시아누르산은 약독성물질이며, 멜라민과 같이 표적장기인 신장을 통해 신장 및 방광 중 결석침착으로 독성유발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우리나라에서는 멜라민에 대한 기준은 마련되됐있으나, 시아누르산에 대해서는 아직 위해기준치가 마련돼 있지 않다.

일부 동물에 대한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 중독 실험결과, 멜라민-시아누르산 혼합독성은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 단독의 경우보다 독성이 강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립독성연구원의 '멜라민과 멜라민 유사체 기준검토 위해평가'자료에서도, 유럽 EFSA, 미국 FDA, 미국 NTP, SCI 논문 등에서 멜라민과 그 유사체 독성의 위험성이 보고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방광결석이 생성된 실험동물에서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돼있다.

심재철 의원은 “멜라민 뿐만이 아니라 멜라민 유사체인 시아누르산에 대해서도 위해성평가 및 기준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현재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멜라민 기준 허용치의 경우도 시아누르산으로 인한 혼합 독성을 감안하여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