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어리 펩타이드
기자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04-10-12 10:07   수정 2004.10.12 10:10
건기식 개별인정형에 대한 업계 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해당 인정제품들도 늘고 있다. 건기식 개별인정형이란 영양보충용 제품 등 기존 32종 건강 기능식품 외에 기준과 규격이 고시되지 않은 식품(원료)에 한해 수입업자가 이에 대한 기준과 규격, 안정성 및 기능성 등에 관한 자료를 제출, 건기식으로 인정하는 제도. 때문에 활성화될 경우 개발회사의 특수한 제조 가공과정을 인정, 다양한 제품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분야 산업 확대를 앞당길 수 있다. 이번 호부터 최근 식약청으로부터 건기식 개별인정형으로 정식 인정받은 원료나 소재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혈압 조절에 도움 줄 수 있습니다." 활성물질만 정제, 식약청 개별인정형 통과 혈압 강하작용 ACE저해 등 다양한 기능 보고
< 다양한 기능성 제품으로 개발 > 정어리펩타이드SP100N(SENMI PEPTIDE SP100N)은 지난 7월 2일 식품의약품안전청 개별인정형 제2004-1호 인정받았다. 인정내용은 “혈압이 높은 사람의 혈압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번에 인정받은 제품(원료)은 YBC(주)에서 일본국 仙味엑기스(주)로부터 독점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일본 M에히메현 오오즈시에 자리잡고 있는, 仙味エキス株式會社(센미엑기스주식회사)로서 원래는 조미료 회사로 최근 기능성 소재의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견기업이다. 76년 시코쿠엑기스산업 유한회사로 출발한 이 회사는 77년 현재의 오오즈시에 신공장 설립을 완성하고 81년 유한회사에서 주식회사로 조직을 개편, 센미엑기스로 사명을 개명했다. 1988년 농림수산성의 프로젝트인 ‘식품산업 하이세퍼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여 본격적인 기능성 소재 개발에 착수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정어리펩타이드가 사딘펩타이드(Sardine peptide)로 통용돼 혈압과 미·이용 제품, 콜레스테롤저하, 미네랄흡수촉진, 탈모방지, 치매예방, 칼슘흡수촉진 제품 등 다양한 형태의 상품으로 개발돼 판매되고 있다. 이중 특히 혈압관련 제품은 대부분 일본 후생성에서 인정한 특정보건용식품으로 등재돼 판매중이며, 현재 420여 가지의 특정보건용식품중에서 22가지가 정어리펩타이드가 주성분인 제품인 것으로 알려진다. < 日 농림수산성 정책 사업 > ‘정어리펩타이드SP100N’ 은 일본 후생성 산하 농림 수산성에서 대 국민 보건 차원의 국가 정책사업으로 수년간 연구하여 개발에 성공한 제품으로 깊은 바다 해양 어류에서 ‘하이세퍼레이션 분리·분획 공법’에 의해 생체 내 활성기능을 주는 물질만을 추출 정제한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일본의 에히메대학과 시모노세키수산대학, 큐우슈우대학, 하이세퍼레이션시스템 기술연구조합 등이 개발 생산 업체인 일본 센미엑기스 주식회사와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를 매년 학회보고와 발표회를 열어 보고하고 있다. 현재 정어리펩타이드는 신규펩타이드(특허3-54958)를 시작으로 20여 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계속하여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여 또 다른 효능 효과의 검증을 진행중이다. < 다양한 기능성 학술지에 보고 > 정어리펩타이드와 관련해 지금까지 다양한 학술 자료들이 발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 바릴-티로신은 소화관프로테아제 내성을 가지는 정어리유래의 ACE저해 펩타이드이다 정어리유래 단쇄펩타이드에 존재하는 L형 valyl-tyrosine을 Sep-pakC18칼럼에 따른 분리 후, 겔 여과크로마토그래피, 역상(逆相)HPLC를 행함에 따라 단리정량화(單離定量化)했다. 단리한 펩타이드 valyl-tyrosine의 소화관프로테아제에 대한 소화내성을 확인했다. valyl-tyrosine은 존재량과 활성기여율에서 정어리유래 단쇄펩타이드 중의 ACE저해 펩타이드의 하나임을 나타냈다. □ 여러 가지 식품단백질유래 단쇄펩타이드의 ACE저해활성 12종의 식품단백질을 Bacillus licheniformis알카리프로테아제에 의해 가수분해하고, 평균 쇄장과 ACE저해활성을 측정했다. 정어리, 새우, 게 유래 효소분해물은 단쇄화(短鎖化) 되어 있고, 쓴맛이 적고, 높은 ACE저해활성을 가지고 있다. 정어리의 알카리프로테아제 분해물은, 가장 높은 ACE저해활성은 나타내고 쓴맛도 적었기 때문에 본 식품 소재로서 최적이라고 판단했다. □ 강압작용을 가지는 정어리유래 단쇄펩타이드의 소화관프로테아제 내성 SHR, Wistar계 쥐를 사용하여, 정어리유래 단쇄펩타이드의 정주(靜注)에 따른 강압작용을 조사했다. SHR에 혈압강하가 확인된 것으로부터 본 강압작용이 ACE저해에 따른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또, 정어리유래 단쇄펩타이드의 소화내성시험을 행하여 소화관프로테아제 내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 안지오텐신Ⅰ변환효소 저해펩타이드는 소장점막 펩티타아제의 작용보다 올리고펩타이드로부터 파생한다 소장점막의 펩티다아제의 기질특이성에서 ACE저해 펩타이드의 1차구조가 활성발현에 관여한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소장점막 펩티다아제에 따른 valyl-tyrosine의 분해속도는, Pro, Asp, Glu를 배열하는 디펩티드와 같은 모양으로 낮은 수치였다. 소장점막 펩티다아제의 작용에 따라 5잔기(殘基) 이하의 펩티드의 C末에 난소화성 디펩티드의 valyl-tyrosine을 위치하면 ACE저해활성이 발현하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 소장점막 펩티다아제 소화내성을 가지는 ACE저해 디펩티드의 정량분석 정어리유래 단쇄펩타이드의 소장점막 펩티다아제에 따른 소화물에서, HPLC에 의해 고활성인 디펩티드를 단리했다. 4가지 디펩티드의 전 ACE저해활성에 대한 기여율은 10.5%였다. ACE저해 디펩티드가 단쇄펩타이드의 돼지소장점막소화물 중에 존재하는 것이 명시되었다. □ 브래디키닌 및 안지오텐신Ⅰ의 분해에 대한 바릴-티로신의 영향 브래디키닌 혹은 안지오텐신Ⅰ과 valyl-tyrosine을 혈장, 정제ACE와 반응시켜 HPLC를 이용해서 각 생성 프라그먼트를 정량한 결과, AngⅠ의 분해는 저해했으나 브래디키닌의 분해는 저해하지 않았다. 결과로부터, valyl-tyrosine은, 레닌-안지오텐신계에는 작용하고, 카리크레인-키닌계에는 작용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 선천성고혈압쥐 (SHR)에서 안지오텐신 절편 (angiotensin fragents)의 항고혈압 효과 SHR에 valyl-tyrosine을 정주(靜注)하자 (dose20, 50mg/kg), 혈압변화율(%)는 수축기혈압에서 -3.9 ~ -9.9%, 확장기혈압에서 -22.6 ~ -28.0% 였다. □ 중등 정도 고혈압인 사람에서, 정어리 근육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도된 단쇄 펩타이드인 Valyl-Tyrosine의 항고혈압 효과 valyl-tyrosine 6mg/일 을 드링크의 형태로 경증고혈압자 및 정상고치혈압자에게 4주간 섭취하게 하고, 음용 전후에 혈액검사, 소변검사(24시간 축뇨 후)를 실시했다. 자각증상과 의사의 타각소견, 부작용 등을 조사했다. 또, 정상혈압자에 대한 강압효과의 유의를 검토했다. valyl-tyrosine 6mg/일 을 음용해도, 임상상의 문제는 없고, ACE저해제를 음용했을 때에 나타나는 마른기침도 없었다. □ 정어리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의 경증고혈압 환자에 대한 강압효과 성인을 대상으로 펩타이드의 강압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경증고혈압증군(輕症高血壓症群) (평균연령 50.2±5.6세, 남9명, 여1명) 및 정상고혈압군 (평균연령 47.7±2.8세, 남9명) 에 있어서, 플라시보를 이용한 2중맹검법(2重盲檢法)에 따른 비교대조시험을 실시했다. 경증고혈압증군에서는 Valy-Tyrosine(VY) 환산으로 125㎍/day의 ‘펩타이드 음료’에 의해 혈압 저하의 경향이 확인되었고 VY환산 250㎍/day의 펩타이드 음용량으로 플라시보군에 비해서 유의한 강압이 확인되었다. (음용개시 4주후에서 수축기혈압-17.8±2.5mmHg:p〈0.01, 확장기혈압-11.0±2.0mmHg: p〈0.05). 정상고치혈압군(正常高値血壓群)에서는 유의한 혈압강하를 확인하지 못했다. 양 군(群)에서 공히 심박수의 변화는 없었다. 경증고혈압군 (평균연령 50.6±4.6세, 남10명) 에 있어서 VY125㎍/day의 음용량에서는 전후기 각 4주간의 비교대조교차실험을 했다. 펩타이드 전기 음용군(0~4주)에서는, 음용개시 1주후에 수축기·확장기 혈압 모두 유의한 혈압저하작용이 확인되었다. (수축기혈압의 변화율-6.9%, 확장기혈압의 변화율-5.8%, p〈0.05) 펩타이드 후기 음용군(10~14주)에서는, 수축기혈압이 음용개시 3주후(변화율-6.7%, p〈0.05)에, 확장기혈압이 음용개시 2주후(변화율-6.0%, p〈0.05)에 각각 유의한 강압이 확인되었다. 양 군 모두 음용 중지 후에 혈압의 완만한 복귀가 관찰되었다. 전 대상자에 있어서 자각증상, 타각소견(他覺所見)과 함께 이상(異常)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부작용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펩타이드 음료”는 경증고혈압 혹은 경계역고혈압자(境界域高血壓者)의 혈압을, 자각증상 및 혈액·뇨검사에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하시킨다고 결론지었다.

<자료제공 : YBC(주)>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