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이 2024~2034년 기간 동안 연평균 3.8% 준수한 확대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9억 달러 규모를 형성한 글로벌 섬유근육통 치료제 마켓이 오는 2034년에 이르면 29억 달러 볼륨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미국 델라웨어州 윌밍턴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트랜스페어런시 마켓 리서치社(Transparency market Research)는 15일 공개한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은 이 만성 통증장애 증상에 대한 인식도의 향상과 진단률 증가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골격계 통증과 피로, 수면장애 및 인지력 문제 등을 수반하는 섬유근육통은 세계 각국에 다수의 환자들이 존재하는 가운데 여성들에게서 발병률이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섬유근육통은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못했지만, 유전적‧환경적 요인들과 심리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면서 뇌와 척수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통증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기존의 섬유근육통 치료제들은 증상들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주안점이 두어지고 있을 뿐, 완치요법제는 부재한 형편이다.
현재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은 약리학적 치료제와 비 약리학적 치료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약리학적 치료제들로는 진통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및 근육이완제 등이 꼽히고 있는데, 이 같은 약물들은 통증을 관리하고 기분장애와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리리카’(프레가발린), ‘심발타’(둘록세틴) 및 ‘익셀’(밀나시프란) 등이 광범위하게 처방되면서 섬유근육통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데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비 약리학적 치료제들의 경우 포괄적인 섬유근육통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물리치료, 운동 프로그램, 인지-행동 치료(CBT) 및 스트레스 관리기술 등이 섬유근육통 환자들에게 빈도높게 권고되고 있다.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 충분한 수면 등의 라이프스타일 개선 또한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되고 있다.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약물들로 생물학적 제제들과 모노클로날 항체, 기타 새로운 계열의 신약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치료효과의 개선을 기대케 해 주고 있다.
여기에 원격의료,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건강 기술들이 결합되면서 환자들의 증상관리를 돕고 있고, 자연스럽게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이 확대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에서 지난해 최대의 마켓셰어를 점유한 지역은 북미시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시장은 오는 2034년까지도 현재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에서 아시아‧태평양시장은 중국과 인도 등의 의료 인프라 향상에 힘입어 마켓셰어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중국과 인도의 제네릭 제약사들이 볼륨확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섬유근육통 환자 수가 5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중 80~90%가 여성환자들일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들(NSAIDs)은 권고되지 않고 있다.
주요한 섬유근육통 치료제 발매 제약사들은 마켓셰어를 유지하고 존재감을 끌어올리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일라이 릴리社는 지난 2021년 12월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엠겔러티’(갈카네주맙)이 나타내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본임상 시험의 막바지 단계에 돌입했다.
원래 ‘엠겔러티’는 군발성 두통과 편두통을 치료하는 용도로 허가를 취득한 제품이다.
이밖에 ‘SP-104’의 임상 1상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보면 건강한 피험자들에게서 속효성 날트렉손을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부작용이 수반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화이자社는 신경성장인자(NGF)를 표적으로 작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일종인 타네주맙(tanezumab)의 개발에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일궈내면서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타네주맙은 임상시험에서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괄목할 만한 효능이 입증되면서 기존의 치료제들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싣게 하고 있다.
일라이 릴리社는 지난해 ‘엠겔러티’를 섬유근육통 치료제로도 선보이기 위한 혁신을 지속하면서 기대치를 끌어올리게 했다.
‘엠겔러티’는 초기임상에서 섬유근육통 환자들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이 시사됐다.
이에 따라 ‘엠겔러티’는 장차 유망하고 새로운 섬유근육통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01 | PFIC 치료제 '빌베이' 급여 적정성 인정…시... |
02 | 국가필수의약품, 9년새 4배 늘었지만 공급 ... |
03 | 메타비아,비만치료제 ‘DA-1726’ 최대 내약 ... |
04 | LG화학, 경구용 희귀비만증신약 ‘비바멜라곤... |
05 | HLB생명 임총서 'HLB와 합병안' 통과...9월 ... |
06 | 지에프씨생명과학, 서울대 약대 노민수 교수... |
07 | QVIS, DIA Global 2025 참가…"글로벌 QA·PV ... |
08 | "가해자 보험사가 진료 여부 결정?"…한의협,... |
09 | '약동학 아카데미' 공식 출범...산업 수요 ... |
10 | 프리시젼바이오, 일본 NIPRO와 동물용 진단... |
안해본게 없는것같다...
유명한 대학병원들...
입원...
한의원...
경두개 자기장치료...
한의원...
마취통증학과...
재활의학과...
정신의학과...
보톡스...
수많은 민간요법들 하다하다
저탄고지식,채식,생식까지 다 해봤다
이 병의 가장 큰 문제는 효과적인 진통제가 없다는거다 유일하게 효과있는게 트라마돌100mg을 정맥주사로 하루에 5~10개 정도를 맞아야 겨우 견딜만하거나 대부분은 그 조차도 전혀 효과없을때가 훨씬 더 많다 게다가 섬근통과 세트로 오는게 편두통,불면증,우울증이다
미친다...
마약? 1도 효과없다
타진,아이알코돈,몰핀 그 유명한 펜타닐까지...전혀~효과가 없었다
그러다가 엠겔러티를 알게 되고 기대가 컸다 한달에 한번 50만원이나 들지만 두통과 섬근통에 효과있대서 열씨미 맞았다 내겐 효과가 1도 없었다
그래서 회사에 효과가 없다고 전화를 했더니만..."아무 효과가 없는게 가장 큰 부작용"이라고 했다ㅎ
운동하라고 교과서처럼 말들을 한다
통증으로 죽을것같은데도 헬스를 5~6년 했고,요가도 했지만 통증엔 효과가 없었다 제일 쉬운 걷기운동을 열심히 했더니만 족저근막염이 생겼다
정말 매일 죽고 싶다...
죽을때까지 아프고 싶지않아서 방법을 연구하고,스위스도 가고 싶을 지경이다
이 병은 겉은 멀쩡하고,온몸을 통증으로 365일을 갉아먹고 있어서 몸도 마음도 피폐해지는것 같다
부디 좋은 치료제나 진통제가 나오길...
마지막 희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