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엔허투’(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절제수술 불가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의 생존기간 연장에 괄목할 만한 효과를 나타냈음을 입증한 새로운 임상 3상 시험결과가 공개됐다.
아스트라제네카社 및 다이이찌 산쿄社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HER2) 수치가 낮게 나타나는 절제수술 불가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본임상 3상 ‘DESTINY-Breast04 시험’에서 ‘엔허투’가 호르몬 수용체의 상태와 무관하게 의사가 선택한 항암화학요법제에 비해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총 생존기간(OS)을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데다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시켜 준 것으로 입증됐다고 21일 공표했다.
‘엔허투’는 HER2 기반 항체-약물 결합체(ADC)의 일종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및 다이이찌 산쿄 양사에 의해 공동으로 개발된 항암제이다.
이날 양사에 따르면 시험에 충원된 전체 피험자들은 HER2 검사를 받은 환자들이었고, 결과는 중점적인 확인을 거쳤다.
HER2 수치가 낮다는 것은 면역조직화학(IHC) 점수가 1+ 또는 IHC2+를 나타내고, 현장 혼성화법(ISH) 진단에서 음성을 나타냈음을 지칭한 것이다.
전체 유방암 환자들 가운데 최대 55%에서 종양이 HER2 IHC 점수가 1+ 또는 IHC2+를 나타내면서 IHC 검사에서 음성을 나타내며, HER2 수치가 낮게 나타나면 현재 사용 중인 HER2 표적치료제들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낮은 HER2 수치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및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HER2 검사는 전이성 유방암에서 적절한 치료전략을 결정하는 데 견고하게 확립되어 있다.
낮은 수치로 발현되는 HER2를 표적으로 겨냥하는 것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종양의 진행속도를 지연시키고 생존기간을 연장하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호르몬(엔도크린) 치료제를 사용해 치료했지만 종양이 진행된 호르몬 수용체 양성 종양 환자들과 호르몬 수용체 음성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치료대안은 항암화학요법제가 유일한 형편이다.
‘DESTINY-Breast04 시험’은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되어 앞서 호르몬 수용체 양성을 나타내고, 낮은 HER2 수치를 내보이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 가운데 ‘엔허투’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환자그룹의 경우 표준 항암화학요법제를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무진행 생존기간의 우위가 입증됐다.
이 시험은 아울러 핵심적인 이차적 시험목표 또한 충족된 것으로 분석됐다.
호르몬 수용체의 상태와 무관하게 HER2 수치가 낮게 나타나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무진행 생존기간 요건이 충족되었다는 의미이다.
이밖에도 중간분석 결과를 보면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들 뿐 아니라 호르몬 수용체의 상태와 무관하게 환자들에게서 총 생존기간과 관련된 핵심적인 이차적 시험목표들이 충족됐다.
‘엔허투’의 안전성 프로필을 보면 앞서 진행되었던 임상시험례들로부터 확보된 내용과 대동소이했으며, 안전성 측면에서 새로운 우려사안은 확인되지 않았다.
간질성(間質性) 폐질환이 발생한 비율을 보면 ‘엔허투’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후기단계 HER2 양성 유방암 시험에서 일관되게 나타났고, 사외 판정위원회가 판정한 5급 간질성 폐질환 발생률 또한 낮게 나타났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수잔 갤브레이스 항암제 연구‧개발 담당부회장은 “오늘 ‘DESTINY-Breast04 시험’의 역사적인(historic) 뉴스가 공개됨에 따라 유방암의 분류방법과 치료방법이 재형성될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HER2 기반 치료제가 낮은 HER2 수치를 나타내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효과를 입증해 보인 것은 전례없는 일”이라는 말로 의의를 강조했다.
갤브레이스 부회장은 뒤이어 “이 같은 ‘엔허투’의 시험결과는 괄목할 만한 진일보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자 HER2 발현의 전체 스펙트럼을 표적으로 겨냥할 수 있도록 우리의 역량이 확대될 수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유방암의 분류방법과 치료방법에 변화가 수반되어야 할 필요성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이이찌 산쿄社의 켄 다케시다 연구‧개발 담당대표는 “HER2를 표적으로 하는 암들에 대한 치료법을 ‘엔허투’가 지속적으로 재정립하고 있다”면서 “HER2 수치가 낮게 나타나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HER2 기반 치료제의 첫 번째 임상 3상 시험으로 진행된 시험례가 ‘DESTINY-Breast04 시험’일 뿐 아니라 기존의 표준요법제와 비교했을 때 무진행 생존기간 및 총 생존기간이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데다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음을 입증한 시험례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의의를 설명했다.
이에 따라 ‘DESTINY-Breast04 시험’의 상세한 내용을 의료계와 공유해 나가면서 각국의 인‧허가 당국들과 협의를 개시해 ‘엔허투’가 앞서 HER2 음성으로 사료되었던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다케시다 대표는 덧붙였다.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는 임박한 의학 학술회의에서 발표되고, 각국의 보건당국들과 공유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엔허투’는 ‘DESTINY-Breast01 시험’에서 확보된 결과를 근거로 전 세계 40여개국에서 항-HER2 기반요법제를 사용회 2회 이상 치료를 진행한 전력이 있는 성인 절제수술 불가성 또는 전이성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승인받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엔허투’는 유방암, 위암, 폐암 및 직장결장암을 포함해 다양한 HER2 표적 암들을 대상으로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포괄적인 임상개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