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州 샌프란시스코에 소재한 생명공학기업으로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을 겨냥한 PINK1 표적 치료제들을 개발하고 있는 마이토키닌社(Mitokinin)는 애브비社가 자사를 인수할 수 있는 독점권을 매입했다고 2일 공표했다.
현재 마이토키닌 측이 개발을 진행 중인 선도물질 PINK1 신약후보물질의 임상시험 계획(IND) 신청서 제출을 위한 시험을 완료하면 애브비 측이 권한을 행사하기로 했다는 것.
이 같은 내용은 마이토키닌社가 화이자社의 벤처캐피털 투자 부문 자회사인 화이자 벤처社(Pfizer Ventures)에서도 투자했을 만큼 유망기업으로 알려져 왔음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한 것이다.
마이토키닌社의 공동설립자들인 니콜라스 허츠 및 케번 쇼캣은 캘리포니아대학 샌프란시스코캠퍼스(UCSF)에서 개발된 첨단기술을 기반삼아 UCSF 의과대학‧병원 인근에 들어선 생명공학 스타트업 기업 집적지인 MBC 바이오랩스(MBC BioLabs)로 지난 2017년 9월 회사를 이전한 바 있다.
이전을 단행하면서 마이토키닌 측은 창업 초기의 신생기업들이 단행하는 ‘시리즈 A’ 투자를 통해 자금을 수혈했다. ‘시리즈 A’ 투자는 민간투자기업 미션 바이오캐피털社(Mission BioCapital)가 주도했다.
마이토키닌 측이 보유한 새로운 PINK1 신약후보물질들은 PINK1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기전의 약물들이다.
PINK1은 유전적으로 파킨슨병과 연관된 미토콘드리아의 품질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조절인자(master regulator)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마이토키닌 측은 이 같은 PIINK1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으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에 대응해 파킨슨병의 발병 및 증상악화를 억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양사간 합의에 따라 마이토키닌 측은 계약성사금을 받기로 했다. 아울러 선도물질의 임상시험 계획 제출을 위한 시험을 마무리짓는 등 자사의 PINK1 촉진제 프로그램의 개발을 계속 진행키로 했다.
마이토키닌社의 대니얼 드 룰렛 대표는 “세계적인 수준의 신경과학팀을 보유한 애브비와 손잡고 우리의 PINK1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된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협력연구 뿐 아니라 무엇보다 절실히 요망되는 파킨슨병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을 진척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토키닌社의 니콜라스 허츠 최고 학술책임자는 “마이토키닌이 애브비의 시야에 들어온 것을 보면 우리가 보유한 학술역량을 질과 연구팀의 강력함을 방증하는 듯하다”면서 “애브비팀과 함께 우리의 PINK1 표적 신약후보물질들의 치료 잠재력을 계속 입증해 나가면서 임상단계 진입을 목표로 할 수 있게 된 것은 대단히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미션 바이오캐피털社의 운영이사이자 마이토키닌社의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고 있는 마이클 D. 테일러 박사는 “마이토키닌이 보유한 혁신적인(breakthrough) PINK1 방법론이 파킨슨병의 치료에 쇄신을 가져올 수 있을 것(revolutionize)”이라며 “이번에 애브비 측과 새로운 관계를 구축한 것이 이 새로운 계열의 치료제 개발을 지속하고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핵심적인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01 | 명인제약, CNS 경쟁력·펠렛 제형 앞세워 코... |
02 | 셀루메드, 피부이식재 '셀루덤 파워' 제조 ... |
03 | 뉴메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 볼리... |
04 | 케어젠,필러 의료기기 인도 CDSCO 등록 완료 |
05 |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케이캡' 결정형 분... |
06 | 동방에프티엘, ‘니르마트렐비르’ WHO PQ- WH... |
07 | OATC, 화장품 향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사 항... |
08 | 한미약품,당뇨약 멕시코 공급 계약...중남미... |
09 |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 계약 MOU... |
10 | 콜마비앤에이치, 서초구청·기빙플러스와 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