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브루비카’+‘가싸이바’ 병용요법 FDA 승인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성 림프종 치료용도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1-29 10:58   

존슨&존슨社 산하의 얀센 파마슈티컬 컴퍼니社 및 애브비社는 항암제 ‘임브루비카’(이브루티닙)과 ‘가싸이바’(오비누투주맙)의 병용요법이 FDA의 허가를 취득했다고 28일 공표했다.

치료전력이 없는 성인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소림프구성 림프종(SLL)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임브루비카’ 및 ‘가싸이바’ 병용요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받았다는 것.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성 림프종은 가장 빈도높게 발생하고 있는 성인 백혈병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전력이 없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성 림프종 환자들을 위해 항암화학요법제를 사용하지 않는 병용요법이 허가를 취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울러 ‘임브루비카’는 지난 2013년 11월 공격성이 강한 혈액암의 일종인 외투세포(外套細胞) 림프종을 치료하는 경구용 약물로 허가를 취득한 이래 FDA로부터 10번째 허가를 취득했다.

이번에 허가를 취득함에 따라 ‘임브루비카’의 제품라벨에는 단독요법제 이외에 ‘가싸이바’와 병용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성 림프종을 치료하는 1차 약제로 사용하는 내용이 추가될 수 있게 됐다.

‘임브루비카’는 미국 캘리포니아州 서니베일에 소재한 제약기업으로 애브비社의 계열사인 파마사이클릭스社(Pharmacyclics)가 얀센 바이오텍社와 공동으로 개발‧발매하고 있는 브루톤(Bruton’s)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의 일종이다.

임상 3상 ‘iLLUMINATE 시험’을 총괄했던 스페인 바르셀로나 자치대학 병원의 카롤 모레노 박사(혈액학)는 “불과 몇 년만에 ‘임브루비카’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들을 위해 중요한 치료제의 하나로 자리매김했다”고 언급한 뒤 “이제 ‘임브루비카’는 단독요법제 및 ‘가싸이바’와 병용하는 요법제로 화학면역요법제를 포함한 1차 약제를 대체하는 약물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들에게 공급될 수 있게 된 것”이라는 말로 허가취득의 의의를 설명했다.

‘iLLUMINATE 시험’은 이번에 FDA가 ‘임브루비카’ 및 ‘가싸이바’ 병용요법을 승인하는 근거자료를 도출한 시험례이다.

평균 31개월에 걸친 추적조사가 진행된 이 시험에서 ‘임브루비카’ 및 ‘가싸이바’를 병용한 그룹은 심사위원회가 평가한 결과 클로람부실 및 ‘가싸이바’를 병용한 대조그룹과 비교했을 때 무진행 생존기간이 괄목할 만하게 증가한 것으로 입증됐다.

‘임브루비카’ 및 ‘가싸이바’ 병용그룹은 아울러 증상이 진행되었거나 환자가 사망에 이른 비율이 대조그룹에 비해 77% 낮게 나타났다.

17p 염색체 결손이나 TP53 유전자 변이, 11q 염색체 결손 등이 나타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류된 환자들의 경우에도 ‘임브루비카’ 및 ‘가싸이바’ 병용요법을 진행한 그룹은 증상이 진행되었거나 환자가 사망한 비율이 대조그룹에 비해 85%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밖에도 ‘임브루비카’ 및 ‘가싸이바’ 병용그룹은 총 반응률이 89%로 집계되어 클로람부실 및 ‘가싸이바’ 병용 대조그룹의 73%를 상회했다.

이 같은 시험결과는 지난해 12월 1~4일 미국 캘리포니아州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 혈액학회(ASH)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되었으며, 같은 달 의학저널 ‘란셋 온콜로지’誌에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 1차 약제로 나타낸 이브루티닙‧오비누투주맙 병용요법 및 클로람부실‧오비누투주맙 병용요법 효과의 비교’ 보고서로 게재됐다.

얀센 리서치&디벨롭먼트社의 크레이그 텐들러 임상개발‧글로벌 의무(醫務) 담당부사장은 “이번 성과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성 림프종 환자들의 임상적 니즈에 부응할 수 있기 위해 항암화학요법제를 사용하지 않는 ‘임브루비카’ 기반요법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울여지고 있는 노력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한편 FDA는 ‘임브루비카’의 제품라벨에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성 림프종 환자들을 위한 단독요법제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낸 효능을 언급한 자료가 삽입되도록 했다.

여기에는 5년여에 걸쳐 지속된 추적조사 결과가 수록된 임상 3상 ‘RESONATE 시험’ 및 ‘RESONATE-2 시험’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