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표적치료제 개발길 열렸다
‘c-src’, 파킨슨병 병인에 작용 기전 추가로 확인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5-20 09:17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박상면 교수팀(최유리 연구강사)은 지난 2018년 파킨슨병의 병인에 신경세포에서 발현하는 ‘FcγRIIB’와 이의 하위신호전달물질인 ‘SHP-1/-2’가 관여함을 밝혀 Cell Reports에 발표한 이후, 최근 이 신호전달체계의 하위단계인 ‘c-src’이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의 세포간 전이과정’에 관여함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알파-시누클레인은 파킨슨병 특이 단백질응집체인 루이소체(Lewy body)의 주성분이며, 가족형 파킨슨병에서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어 파킨슨병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c-src이 알파-시누클레인을 분비하는 세포에서는 자가포식(autophagy)을 조절하여 분비를 조절하고 있으며, 알파-시누클레인을 받아들이는 세포에서는 받아들이는 과정인 엔도시스(endocytosis) 과정을 조절함으로써 세포간 전이현상에 관여함을 추가로 확인했다.

또 동물실험에서 쥐에게 c-src를 억제하는 약물을 주입한 결과, 이러한 전이현상이 억제됨을 확인했다. c-Src은 현재 개발중인 많은 항암제의 주요 타깃으로 알려져 있다.

박상면 교수는 “노령화 사회로 가면서 파킨슨병의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으로, 이번 연구결과로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히 개발중인 c-src를 타깃으로 하는 치료제가 향후 파킨슨병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5월 5일 분자세포생물학 세계적 학술지, 엠보 리포트(EMBO Reports)에 ‘α-시뉴클레인의 세포간 전달에 있어서 c-src의 이중적 역할(The dual role of c-src in cell-to-cell transmission of α-synuclein)’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