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20년 1월 13일부터 만성 B형간염 및 C형간염 환자, 간경변 환자 등 A형간염 감염 시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률이 높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A형간염 무료 예방접종을 지원해 A형간염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형간염 예방접종은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해야 하며, 접종 대상은 1970년~1999년생 A형간염 고위험군 약 23만명으로, 항체 형성자, 이미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 등을 제외한 약 7만 8천명이 접종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대상 질환으로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사람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접종 대상자에게 개인별 알림 문자와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예방접종은 2020년 1월 13일부터 실시하는데, 1980년~1999년생은 낮은 항체보유율 고려하여 항체검사 없이 바로 접종하도록 했다.
초기 예방접종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항체보유율이 높아 항체 검사 후 예방접종이 필요한 1970년~1979년생은 2020년 2월 1일부터 항체검사 실시 후 항체가 없음을 확인한 후 백신접종을 받게 된다.
보건소 또는 지정의료기관별 예방접종 시행 시기와 항체검사가능 여부가 다를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https://nip.cdc.go.kr), 또는 관할 보건소 등을 통해 항체검사 또는 백신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2019년 34주(8.18-24.) 주당 660명까지 급증했던 A형간염 환자 발생의 원인이 조개젓임을 밝히고 섭취중지를 권고(2019.9.11.)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52주(12.22-28) 주당 60명(최고발생시점 대비 91% 감소)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그동안 식약처 등 유관부처,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하여 환자에 대한 격리치료와 접촉자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했으며, 역학조사를 통해 주요 발생 원인이 오염된 조개젓임을 밝혀내 조개젓 섭취를 중지해 줄 것을 권고(2019.9.11)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역학조사 결과 발표(2019.9.11) 이후 국내 유통 '조개젓' 전제품 136건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44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어 모두 회수·폐기조치(2019.9.27) 하는 등 국내 및 수입 조개젓 제품 안전관리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국내 제품은 시중에 판매하기 전에 검사명령을 통해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제품만 유통·판매하도록 조치(2019.9.30.했으며, 중국산 수입 ‘조개젓’ 제품에 대해서는 검출 이력이 있는 제조사는 매 수입시 마다, 그 외 제조사는 제품별로 3회의 검사를 실시하는 통관검사 강화조치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01 | 프로티움사이언스, 누적 수주액 400억원 달... |
02 | 티앤알바이오팹, 3D 인공장기 대량생산 ‘바... |
03 | 젠큐릭스, 글로벌 진단 기업 '바이오래드'와... |
04 | 팝바이오텍, 알츠하이머 치료백신 개발 미국... |
05 | 미국 제약협회의 돌직구! 의약품 직구 사이... |
06 | 9월 화장품 수출 '최고치 행진'…월·분기·누... |
07 | 선정적 광고 …젠더 감수성 간과 위기 불러 |
08 | 서울시약, 온·오프라인 아우른 ‘건강서울페... |
09 | "킴코재단, 혁신 잇고 글로벌 도약 K-바이오... |
10 | 심근세포치료제 동맹 붕괴…노보, 하트시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