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반증은 피부 특정 부위의 색소가 빠지면서 경계라인이 뚜렷한 탈색반이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다.
인구의 2% 정도에서 발명하고 있으며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피부질환이지만 백반증에 대한 인식 문제로 실제 백반증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육체적인 고통 보다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백반증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피부질환으로 백색비강진, 어루러기 등 저색소증과 감별이 필요하다.
유아부터 노인인구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주로 젊은 층에서 발생빈도가 보다 높다. 현재까지 명확하게 발병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인 소견이나 스트레스, 물리적 자극,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자가면역세포인 T-세포가 색을 나타내는 세포를 파괴하면서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백반증의 발병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인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피부색이 뚜렷한 황인, 흑인에게서 심리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피부질환이다. 전신에서 모두 발병할 수 있지만 자외선의 영향을 받는 노출 부위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백반증은 통증을 주거나 몸이 아프거나 한 증상은 아니다. 단지, 시각적으로 대인관계를 할 때 불편함을 느끼게 할 뿐이다. 백반증 때문에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신감이 결여되고 자신을 감추게 되면서 백반증 때문에 자신이 위축이 된다는 점이다.
백반증이 나타나고 있는 대다수의 환자들이 더운 여름날 백반증 부위가 노출 부위일 경우 짧은 옷을 입지 못하고 긴 옷으로 감추고 다닐 정도로 외부에 노출 되는 것을 꺼려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변의 관심이 오히려 병을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백반증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안부를 묻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음을 알고 대처해야 할 것이다.
백반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엑시머 레이저치료, NBUVB 자외선치료와 약물치료, 국소 비타민 D제제, 스테로이드 국소 도포, 표피 이식 수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다.
백반증 발생 초기에 국소 부위라면 엑시머 레이저 치료로 단기간 치료도 가능하지만, 오래 전에 생기고 크기가 크고 손, 발 등 특정 부위의 경우 상대적으로 치료 기간이 길어진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은 “백반증의 경우 치료와 함께 주변의 배려가 필요하다. 한국인의 정 문화가 백반증 환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음을 잊지 말고 관심보다는 무관심으로 대처하는 것이 백반증 환자에게 더 좋은 치료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백반증 환자를 대하는 주변 사람들의 자세에 대해 강조하였다.
또 홍 원장은 “백반증 치료 중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하게 발라 주어야 하고, 백반증 부위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여름철 자외선 노출이 많은 경우 갑작스럽게 백반증이 발생하기도 하고 백반증 부위가 증가하기도 해서 꼭 자외선 차단제를 잘 꼼꼼하게 여러 번 덧발라야 한다고 전했다.
백반증은 완치가 어려운 피부질환으로 평소 관리를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생 초기에 빨리 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하므로 어린이들의 경우 보호자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발생 초기에 치료 받는 것이 안치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