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적으로 늦은 수면을 취하는 사람에게서 당뇨병이 발병할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내분비내과 서지아, 김난희, 신철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이 없는 40세-69세의 총 3,689명 코호트를 약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습관적으로 수면 시작 시간이 늦으면 (새벽 1시 이후 취침) 당뇨병이 발병할 위험이 1.34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이거나 기저에 인슐린 저항성이 높고 인슐린 분비능력은 낮아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았던 사람의 경우에는 늦은 수면자에서 이른 수면자에 비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2~4배 이상으로 더욱 높았다.
수면 장애와 당뇨병 발생과의 상관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지나치게 짧거나 긴 수면시간 또는 불면증에서의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에 초점을 맞춰 진행돼왔다.
서지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교대근무처럼 수면 주기가 극도로 바뀐 상황이 아니라 단지 습관적으로 늦게 취침하는 사람들에서도 수면시간이나 수면의 질과 상관없이 제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젊은 인구에서도 늦게 취침하는 것이 당뇨병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지, 아침형/저녁형 타입, 자발적/비자발적 수면 시작시간에 따른 위험의 차이 유무 등 더욱 확장된 연구 및 분석을 할 예정이다”며 “이를 통한 바람직한 수면패턴 유도는 당뇨병 발생 위험을 낮춰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원으로 2002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서 진행 중인 한국인 유전체 역학 연구 사업-안산코호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로서 국제학술지인‘SLEEP’ 2019년 4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