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수면자세만으로 완화 가능해
이승훈‧홍승노 교수 연구결과, 자세 따라 상기도 공간 확대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5-30 11:39   
수면의 자세에 따라 상기도가 공간이 변화해 수면무호흡이 완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이비인후과 이승훈, 서울대 보라매병원 홍승노 교수 연구팀은 수면 호흡 장애를 가진 118명을 대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와 비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를 분류해 실험한 결과다.

연구에 따르면 똑바로 누운 수면자세와 측면(왼쪽, 오른쪽)으로 누운 수면자세를 상기도 CT 스캔으로 비교한 결과, 측면으로 누운 수면자세에서 혀 뒤 공간의 최소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바른 자세와 측면으로 누운 자세를 각각 검사해 혀 뒤 공간과 입천장 뒤의 최소 단면적이 두 환자군 모두 측면으로 누웠을 때가 바른 자세에 비해 약 38% 가량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측면으로 누워 수면을 취할 경우 바른 자세에 비해 원활하게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이승훈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옆으로 누워 자면 수면무호흡 증상이 완화된다고 알고 있으나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한 사례는 없었다”며 “이번 연구는 신체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도의 모습도 변하며 상기도의 최소단면적 확장이 호흡을 원활하게 하여 수면무호흡 증상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Sleep and Breathing’ 2019년 5월호에 게재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