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수면학회-수면연구학회, ‘수면의 중요성’ 알린다
올바른 수면 부족할 경우 퇴행성질환 발병 위험 증가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3-15 17:09   
대한수면학회(회장 윤인영, 서울의대 정신건강의학과)•대한수면연구학회(회장 김지언, 대구가톨릭의대 신경과)는 15일 ‘2019 세계 수면의 날(World Sleep Day)’(주제: ‘건강한 잠, 건강한 삶(Healthy sleep, Healthy aging)을 기념해 수면질환의 진단 및 치료, 관리 중요성을 알리고자 미디어 간담회를 개최했다.

‘세계 수면의 날’은 세계수면학회(WASM, World Association of Sleep Medicine)가 수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면질환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을 알려, 수면장애 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질병 부담 등을 줄이고자 2007년에 제정했다.  매년 3월 우리나라를 비롯 세계 70여 개 회원국에서 기념 행사를 진행해오고 있다.

올해에는 더 적극적인 홍보를 위해 대한수면학회 홍보이사 김지현 교수(단국의대 신경과)와 대한수면연구학회 홍보이사 김혜윤 교수(가톨릭관동의대 신경과)가 주축이 되어 미디어 간담회를 시행, 더 플라자 호텔에서 ‘어린이, 청소년, 고령의 성인까지 모든 연령에서의 수면의 중요성’에 대한 최신지견을 공유했다.

이날 정기영 교수(서울의대 신경과)는 ‘수면과 Healthy Aging: 수면, 인지기능, 치매’를 주제로 발표했다. 정 교수는 “밤 중 수면은 뇌 속 노폐물이 빠져 나가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제대로 수면하지 못할 경우, 뇌에 노폐물이 축적돼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퇴행성질환의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부분을 강조했다.

이어, 김혜윤 교수(가톨릭관동의대 신경과)는 국내 청소년들의 수면부족이 우울증, 자살사고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밝힌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특히 잠자는 시간에 다른 일을 하기 위하여 잠을 스스로 줄이는 수면박탈 또는 수면부족이 만성으로 지속되는 경우 예민한 청소년기에 우울증을 일으키고 자살사고를 증가시킨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간담회에서는 성인, 청소년 뿐 아니라 소아 코골이의 증상,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이와 관련 발표를 진행한 김정훈 교수(서울의대 이비인후과)는, “소아에서의 수면무호흡증은 성인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진단 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성장 지연 및 얼굴구조에 변화가 나타나고, 성인이 되어서 더 심한 무호흡 증상을 겪게 된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