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이용 현황 분석 엇갈리는 약업계와 플랫폼..."정부가 통계 공개해야"
약업계 "정부,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종합 통계 수치 발표해야" 지적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3-08 06:00   수정 2024.03.08 06:01
약업계는 7일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과 관련해 정부가 정확한 통계 수치를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픽사베이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과 관련해 정부가 공신력 있는 데이터를 집계, 발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약업계와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이 각각 비대면 진료 이용 경향에 대해 다르게 분석하고 있어서다.  

7일 약학정보원에 따르면, 그동안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을 통해 전달된 처방전의 절반 이상은 탈모 등 비급여 진료 항목이다. 반면,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는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는 환자의 절반 이상은 감기 등 경증 질환 환자가 차지했다고 밝혔다.

약업계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와 관련해서 업체들과 약정원의 통계가 엇갈리는 일이 계속 일어난다”며 “이에 섣불리 비대면 진료의 흐름이 어떻게 가고 있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대면 진료 관련 통계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산업계와 약업계 모두 전체 비대면 진료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업계에 따라 엇갈린 분석이 나오는 이유는 비대면 진료에 대한 종합 데이터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이에 비대면 진료를 누가, 어디서, 언제 이용하는지 명확하게 분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서로 다른 경향성을 띠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를 만들어 발표하기에 엇갈린 분석이 나오는 만큼, 약업계는 제대로 된 통계를 만들기 위해선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보고 있다. 시범사업의 주체인 정부가 사업 진행 현황과 방향성을 점검하며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

약업계 관계자는 “산업계와 약업계가 다른 통계를 두고 비대면 진료를 분석하는 건 정부가 개입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기간을 정해두고 진행된 비대면 진료에 대한 데이터를 집계해서 발표하면 지금과 같이 다른 해석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공신력있는 데이터를 발표하면 시범사업의 장점과 맹점을 제대로 분석할 수 있다”며 “정부가 의도했던 심야ㆍ공휴일에 환자들이 제대로 이용하고 있는지, 의료취약지 환자들의 이용 비중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검증할 기회도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가 시범사업을 시작하고, 규제도 완화했으니 이에 대한 책임감을 보여야 할 때”라며 “보건복지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통계를 만들어서 상황을 정리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달 23일 정부가 의료계 집단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비대면 진료 전면 허용을 선언한 후, 모든 의료기관이 언제라도 비대면 진료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고 이후 비대면 진료 이용 건수는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와 약업계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 건수는 2월 23일 이전과 비교해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