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약사회 약사정책기획단이 비대면진료에 성분명처방과 공적전자처방전이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지난 19일 제20차 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입장을 재확인한 약사정책기획단은 여야 총선 공약 채택에 만전을 기울이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권영희 서울시약사회장은 “정책기획단에서 오랫동안 준비해온 성분명처방과 정부 주도의 공적전자처방전이 제22대 총선 공약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며 “의미 있는 결과물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약에 따르면, 그동안 정책기획단은 지난해 9월17일 첫 회의부터 성분명처방과 정부의 공적전자처방전이 4.10 총선 공약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단기적인 로드맵을 수립하고, 매주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또 지난해 정부 주도 공적전자처방전 연구용역을 통해 국회정책토론회를 개최해 국회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제도 도입을 위해 여야 정치권과 지속적인 소통을 유지해왔다.
무엇보다 서울시약사회는 대한약사회의 PPDS가 사설플랫폼과 다름 없고 정부의 공적전자처방전과 상충돼 공존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약 관계자는 “지난 1일 서울시약사회 최종이사회에서 대한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PPDS)은 정부로부터 공인받은 바 없어 비대면진료 중개 민간플랫폼의 처방전 전달(이미지 전달)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PPDS 명칭으로 인해 회원뿐 아니라 국회 등 대외적으로도 ‘정부 주도의 공적전자처방전’과 동일한 것으로 혼동을 초래하고 있어 약사회가 추진하는 ‘공적전자처방전’ 도입에 방해가 된다며 PPDS를 통한 비대면진료 대응정책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건의가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서울시약사회는 지난 6일 이같은 의견을 대한약사회에 전하고, PPDS에 대한 입장을 질의했으나 회의 당일 회신된 내용이 없어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