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들이 바라는 품절약 해법은...'성분명처방-동일성분조제 간소화'
지난해 약사회 시도지부 건의사항 TOP2 차지해 "정부 적극적으로 나서야"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2-19 06:00   수정 2024.02.19 06:01
지난해 '성분명처방'과 ‘동일성분조제 간소화’와 관련한 시도지부의 건의사항이 가장 많았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픽사베이

의약품 공급 부족 문제가 지속됨에 따라, '성분명처방'과 '동일성분조제 간소화'에 대한 약사들의 염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대한약사회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16개 시도약사회의 건의사항 중 '성분명처방'과 '동일성분조제 간소화' 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먼저, 서울시약사회와 부산시약사회, 경기도약사회, 전라남도약사회는 지난해 '성분명 처방 제도화 추진'을 대한약사회에 강력히 요구했다.

이에 대한약사회는 "의약분업 실시 이래 지속적으로 성분명 처방 의무화를 정부 관계기관에 요구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상표명으로 인한 국민 알 권리 침해와 환자 안전 위협, 국민 불편 초래 등 문제에 대해 이슈화하고, 신약 및 특허 만료 약의 제품명을 국제일반명(INN)으로 변경 의무화 등을 식약처에 적극 건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약봉투 및 복약지도서 등에 이를 반영한 명칭을 기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을 대한약사회는 강조했다.

'동일성분조제 간소화' 시행을 위해 노력해 달라는 의견도 서울시약사회와 인천시약사회, 경기도약사회, 전라북도약사회로부터 대한약사회에 접수됐다.

대한약사회는 "동일성분조제 활성화를 위해 '대체조제' 용어를 '동일성분조제'로 변경하고, 동일성분조제를 심평원 DUR(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통보하는 방안을 관련 기관과 논의하며, 의약품 품절 등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동일성분조제 활성화를 제안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 의약품정책연구소에 '대체조제 활성화 정책 방안 마련 연구' 용역을 발주해 현재 관련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며, 소비자 인식조사 및 약사 대상 설문을 통해 대체조제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대안을 마련코자 한다고 전했다.

최근 정부의 비대면 진료 확대 추진과 관련해서도 적절한 조제약 전달체계 마련을 위해 성분명처방 제도화 및 동일성분명 조제 활성화가 필수적임을 관계 부처 및 국회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게 대한약사회의 설명이다.

대한약사회는 "제21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대표 발의한 '동일성분명조제 절차 간소화를 위한 약사법 개정안' 통과를 위해 국회 및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약사회 임원들도 최근 공식 석상에서 품절약 사태가 심각한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도약사회 박영달 회장은 지난 17일 경기도약사회 제67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의약품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인 대책으로 △국가필수의약품이나 저가필수의약품인 퇴장방지의약품과 희귀의약품은 하루빨리 국가에서 공공제약사를 설립해 의약품을 생산-비축하거나 △가칭 의약품유통공사를 만들어 위탁생산을 통해 비상시를 대비해 비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박 회장은 "국가필수의약품도 국가비축물자로 지정해 민간에 맡기지 말고 국가에서 유통,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약사회 약국이사인 민필기 광명시약사회장은 같은날 의약품 수급불균형 문제는 품목마다 원인이 다양해 각각의 대책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고 말했다.

민 회장은 △생산을 확대해 충분의 약 재고 비축 △약 품절로 인한 유통 왜곡 현상 해소 △의사의 수급불균형 의약품 처방 제한 등 세 가지 방안으로 의약품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