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이하 약준모)이 의약품 품절사태에 가짜뉴스까지 성행하며 약사와 환자들이 피해를 보고있다며 정부와 약사회에 해결을 촉구했다.
약준모는 18일 '의약품 품절사태 가짜뉴스 해결 촉구'라는 입장문을 발표하고 제약사와 도매업체의 갑질을 지적했다.
약준모에 따르면 최근 약국가에선 ‘종근당 딜라트렌 품절’에 대한 가짜뉴스로 인해 대혼란이 있었다. 실제론 서방형 캡슐제만 품절이었지만, 일부 도매업체에서는 일반 정제까지 품절 될 수 있다는 허위사실을 약사들에게 안내했기 때문이다.
실제 코로나19로 인한 의약품 품절 사태이후 기본적인 해열제와 감기약부터 최근엔 변비약, 관절염약, 항생제, 통풍약까지 다양한 제제들이 꾸준히 공급이 불안정한 상태다.
약준모는 이로 인해 최근 약국 약사들은 약 재고를 체크하고 품절약을 확보하는 업무로 인해 불필요한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고 전했다. 원료 수급 불안정, 생산 및 수입 공급량 부족, 낮은 약가, 단기 수요 급증, 제약사 행정처분, 임상재평가 등 의약품 품절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결국 피해를 보는 건 약국과 환자라는 설명이다.
또 약준모에 따르면, 최근 일부 제약사와 도매업체에선 품절약을 미끼로 끼워팔기를 하거나, 품절을 빌미로 대량 구매를 유도하는 등의 비윤리적인 영업행위까지 하고 있다. 품절 사태가 반복됨에 따라, 특정약이 공급 불안정이라는 소문이 돌기만해도 약국 약사들이 겁먹고 주문량을 늘려 사재기를 하는 상황을 업체들이 악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약준모는 정부에서 의약품 수급상황에 대하여 전적으로 책임지고 모니터링하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약준모는 해외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미국 FDA의 경우 별도로 CDER 내에 ‘Drug Shrtage 부서’를 운영하고 있고, 제약사는 ‘CDER Direct NextGen Portal’이라는 웹 포털을 통하여 생산 중단, GMP 문제, 제품수요 증가, 제품 회수, 공급 불안정 등을 FDA에 곧바로 보고할 수 있다는 것.
실제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이 복지위 전체회의에서 미국 사례를 들어 "품절현상을 보일 때는 성분명으로 처방 조제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약준모는 "COVID19라는 특수상황을 근거로 법적근거도 없는 비대면 진료도 추진한 정부가 이러한 품절사태에는 미온적인 것에 대하여 약사 및 일반 국민들은 용납하기 힘들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약준모는 대한약사회 차원에서도 나서야한다고 촉구했다. 대한약사회가 회원들이 부정확한 가짜뉴스로 인해 혼란스럽지 않도록 품절소식을 빠르게 취합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약준모는 이를 위해 약사회에도 의약품 수급상황이나 품절에 대해 정보를 취합하는 전담부서가 있어야하고, 제약사에서는 품절이나 판매중지, 회수 등의 이슈가 있을 때 도매상보다 약사회 쪽으로 먼저 공문을 보내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약준모는 "최소한 가짜뉴스로 인해 약사들이 피해를 보는 일은 없도록 정확한 품절약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약사회에서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01 | 서울에 모인 한·중 제약바이오 리더들…"전략... |
02 | "유전체데이터 혁신 앞장" NDS, 'AWS 퍼블릭... |
03 | 디티앤씨알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 |
04 | 해외 의약품 제조소, 미국 FDA ‘기습 불시 ... |
05 | 아리바이오, 저주파 음향진동 전자약 기술 S... |
06 | 케어젠, 튀르키예 ‘아타바이’ 와 펩타이드 ... |
07 |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 |
08 | UNICEF “전세계 비만아동 최초 저체중아 추월” |
09 | 헐리우드와 빅파마 만남…줄리안 무어-릴리 ... |
10 | MoCRA 제대로 모르면 낭패, 선케어 미국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