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 성남시 백화점에서 일어난 흉기난동 사건과 관련해 용의자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추측성 보도가 이어지자 전문가들이 우려를 표했다. 정신질환에 대한 막연한 오해와 혐오 등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고 균형있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4일 입장문을 발표하고 사건 용의자가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추측성 보도를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단이력이 확인됐더라도 사건과 정신질환의 정확한 인과관계는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신과적 진단이 곧 범죄의 원인인 것처럼 암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특히 지원단은 '조현병’과 같은 특정질환을 언급하는 등 정신질환을 언급하고 진단이력을 명시하는 보도는 사회적인 편견과 낙인을 조장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지원단은 "정신질환에 대한 막연한 오해와 편견, 그로 인한 혐오는 결국 치료와 회복을 가로막는 악순환을 초래한다"며 "범죄 행위에 대한 분노는 정당할 수 있지만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무고한 정신질환자들을 비난하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원단은 이어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심화돼 환자들 스스로가 음지로 숨어들고 치료의 기회를 외면하는 것은 아닐지 또한 사회적인 격리와 제재가 가속화되는 것은 아닐지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이럴 때일수록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해소, 낙인반대, 차별금지, 그리고 정신질환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 균형 있는 시각을 위해 다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지원단은 정신건강정책자문 및 지원기구로써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및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모니터링체계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또 필요하면 자살에 대한 보도 권고와 같은 보도기준을 언론과 함께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