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풍렬 디지털혁신추진단장(사진 앞줄 가운데)은 “디지털 병원의 글로벌 스탠더드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사진=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은 미국 의료정보경영학회(HIMSS)가 진행한 ‘디지털헬스지표(DHI, Digital Health Indicator)’ 조사에서 400점 만점에 365점을 획득, 세계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디지털헬스지표 조사는 △지배구조 및 인력 △상호운영성 △개인별 맞춤 의료 지원 △예측분석 등 4개 영역에서 병원의 디지털 전환 정도를 묻는다.
삼성서울병원은 모든 영역에서 100%에 가까운 디지털 전환 성적을 달성했다고 전했다. 상호운영성과 예측 분석, 지배구조 및 인력 3개 부분에 각각 99%, 개인별 맞춤 의료 지원에서 98%를 달성했다.
4차 산업 시대를 앞두고 삼성서울병원이 전 세계 어느 병원보다도 발 빠르게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고, 초격차를 확보했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셈이라는 게 병원 설명이다.
실제로 병원은 이미 ‘첨단 지능형 병원’으로 거듭나기 위한 혁신적 서비스를 선보이며 변화가 한창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DHI 조사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은 DOCC(Data-based Operation & Communication Center)가 대표 사례라는 것.
DOCC는 병실부터 수술실, 검사 장비는 물론 의료진까지 병원의 모든 가용 자원을 그대로 ‘디지털 가상병원(Digital Twin)’에 연동시킨 뒤 병원의 현재 상황을 대입해 적시 적소에 필요한 자원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DHI 평가 프로젝트 책임자인 이풍렬 디지털혁신추진단장(소화기내과 교수)는 “디지털 전환 속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고도화해 있다는 것은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을 삼성서울병원이 개척 중이라는 의미”라며 “다가올 미래 세상에서 삼성서울병원이 만든 디지털 기반 의료가 전 세계 표준이 돼 글로벌 스탠더드로 불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2022년 ‘세계 최초’로 미국 의료정보학회에서 의료정보인프라 인증(HIMSS INFRAM) 최고 등급 7단계를 받았으며, 같은 해 디지털의료영상 수준 인증 ‘DIAM(Digital Imaging Adoption Model)’에서도 국내 처음이자 세계 세 번째로 6단계 인증을 받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