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약사회(회장 조상일)는 9일 인천시약사회관 2층 동행 카페에서 각 분회 담당 임원이 참석한 가운데 약 배달 긴급 대응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책 간담회에서는 △약 배달 관련 대한약사회 정책 현안 공유 △약 배달 플랫폼 난립 사례 및 예상 피해 공유 △인천시약 정책 방향 모색 및 시행 등 크게 3가지 주제로 진행됐다.
정책 간담회에 앞서 조상일 회장은 “비대면 진료 약배달 허용 뒤에는 정부가 플랫폼 기업에 특혜를 주고 국민 건강 파탄에 합의했다”며 “안전성은 무시하고 편리성만 강조하는 정부와 이윤만을 맹목적으로 쫓는 기업들이 우리 국민들의 건강을 킬링필드로 내몰고 있다”고 강한 우려감을 표시했다.
조 회장은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지부가 정책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효과적으로 이러한 흐름을 막고 국민들의 건강과 약사 회원들의 권익을 수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토론의 장이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두영 정책이사는 간담회를 진행하며 “윤석열 정부가 110대 국정과제에 비대면 진료를 도입 선정하면서 약 배달이 제도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대면투약을 대원칙으로 하고, 해당 사안과 관련하여 회원들이 관심을 갖고 약배달 대응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백승준 부회장은 “시약사회 차원의 대응 정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회원들이 현안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관련 사안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전제돼야 한다”며 “대한약사회-지부-분회 간의 지속적이고 열린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정책 간담회에서는 △대면투약 원칙 고수 홍보 △회원 참여형 콘텐츠의 개발, 등 회원들의 해당 현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과 △약 배달 관련 피해 방지 정책 마련 등의 다양한 의견들을 교환했다.
또한 △회원들의 약배달 플랫폼의 위험성에 대한 홍보 콘텐츠 개발 △약배달 플랫폼에 가입된 회원들의 탈퇴를 촉구할 수 있는 장치 마련 △약배달 플랫폼 대응 관련 행동요령 개발 및 이의 배포 △약배달 플랫폼 대응을 위한 데이터 수집 △창고형 약국 관련 적극적 대응 등에 대해 논의했다.
여기에 대한약사회에 △비대면 진료 및 약배달로 인한 사회적 피해 연구 용역 추진 △ 비대면 진료 앱에서의 ‘약조제 거부 불법’이라는 내용에 대한 적극적 대응 △약배달 약국 제보에 대한 홍보 강화 △학술적 접근 및 분석을 통한 근거 중심의 선도적 정책 제안 △약 배달의 제도화를 위한 회원 권익 보호 정책 마련(복약지도 관련 서식의 일원화, 비대면진료 처방전에 대체조제 가능 표시 의무화 등) 등의 건의사항을 전달하기로 했다.
해당 건의사항과 함께 인천시약사회는 약 배달 관련 사항들의 민원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해 백승준 부회장(대한약사회 약국 이사)을 통해 대한약사회에 전달하기로 했다.
인천시약은 간담회 후 약 배달 반대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편리성만 추구해 국민 건강을 등한시하는 정부를 규탄하는 동시에 한시적 비대면 진료의 즉시 종료를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국민건강을 훼손하고 불법 행위를 일삼는 약 배달 앱 업체의 처벌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