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심야약국 연구, 전국 확산 당위성 확인
약사회, 복지부와 공감대 형성…뒷받침할 매뉴얼 개발 등 필요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3-31 06:09   수정 2021.04.01 10:59
약사회가 공공심야약국 사업 평가 연구를 통해 공공심야약국의 전국 확산 필요성을 확인했다.

대한약사회 권혁노 약국이사는 30일 ‘공공심야약국 사업 평가 연구용역’ 관련 브리핑을 통해 공공심야약국의 전국 확산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권혁노 약국이사는 “심야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의료기관 응급실과 편의점 말고는 없다”며 “약의 전문가가 운영하는 약국에서 의약품 구매, 상담할 수 있는 좋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약국에 공공자금을 투입할 경우 심야 취약시간대 공공의료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 이사는 “복지부와 공공심야약국의 전국 확산과 관련해 논의하고 있다. 상반기 중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약사회는 의약품정책연구소를 통해 지난해 7월부터 6개월 간 공공심야약국 사업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 국내 및 국외 사례 분석을 통해 심야 등 취약시간대 소비자의 의약품접근성 제고를 위해 약사 서비스 제공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공공심야약국은 운영하는 제주도의 경우 제주도민 및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공공심야약국에 대해 93%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필요성에 대해서도 93%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공공심야약국 추진의 당위성이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2017년 중앙대 산학협력단에서 수행한 ‘심야약국 운영의 편익분석’에 의하면, 공공심야약국 운영 시 환자 1인당 20,744원의 이익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추정돼 심야약국을 운영함으로 인해 환자, 보험자, 약국을 포함해 전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공공심야약국 사업의 지속적 운영 및 발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요구되며, 전국단위의 통일된 운영모델 개발, 공공심야약국의 지역적 분배, 이에 대한 안내 및 홍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제주특별자치도,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천안시, 서울특별시 등 8개 지역 82개 공공심야약국 운영 중인데, 지자체의 지원을 받는 요구하는 관련 데이터가 너무 상이해 이를 표준화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공공심야약국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선 매뉴얼 개발 등의 후속조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