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약국협회에 이어 약사 사회에서 농림부 수의사 처방전 확대 정책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이하 약준모)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농림축산식품부의 수의사처방전 품목 확대를 통한 백신 의무화를 비판했다.
약준모는 "1997년 이후 대한민국에서도 사람과 동물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반려동물 시대가 도래했다"며 "전국 3대 개시장 중 성남 모란시장 개시장이 없어졌고, 부산 구포 개시장이 없어졌다. 97년 IMF는 수많은 실직과 평생직장의 개념을 사라지게 만들었으며, 실직은 많은 사람에게 외로움을 안겼다. 이 외로움을 채웠던 것 중 하나가 반려동물이다. 그 동안 애완동물로 불렸던 개, 고양이는 이제 사람 옆에서 함께 살아가는 가족이 된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사회적 인식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황은 천차만별로, 누군가는 최고급 동물병원을 다니며 20년 이상 최고의 의료와 최고의 먹이를 먹고 살며, 누군가는 시장을 통해 독거노인에게 안기기도 한다"며 "세상 모든 반려동물이 최고의 집안에서 최고의 혜택과 사랑을 받으면 살길 바라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 하다. 이는 반려동물 뿐 아니라 사람 또한 형편에 따라 최고의 의료를 받지 못 하고 사는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반려동물은 태어나면서부터 기생충을 예방할 수 있는 종합구충제, 심장사상충약을 복용해야 하고, 걸렸을 경우 치료가 쉽지 않은 전염병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그런데 각 가정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최고의 동물병원을 갈 수 없는 보호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상황을 외면한 채, 최고로 비싼 동물병원에서만 예방을 해야 한다는 정부의 정책은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다.
약준모는 "언젠가는 모든 반려동물이 최고의 혜택을 받길 원한다. 하지만, 1천 반려인구들의 예방 접종을 4,700여 곳의 동물병원에서만 해야 한다는 정책은 현 실정과 전혀 맞지 않다"며 "이런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도 뒷받침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반려동물의 몇 %가 예방접종으로 면역을 유지하고 있는지, 이 정책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비접종 반려동물이 생길지 정부는 전혀 모른다"고 질타했다.
더불어 "예방정책의 실패는 곧 정부의 실패다. 아직은 많은 반려동물이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면서 "농림부는 지금이라도 독단적이고 편파적인 실험 정책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