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약사회들이 공적마스크의 대리구매 전면 확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시약사회(회장 한동주), 인천시약사회(회장 조상일), 경기도약사회(회장 박영달)는 20일 ‘정부는 공적 마스크의 대리구매를 전면 허용해 국민 불편을 해소하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 약사회는 성숙한 국민 의식과 약사들의 헌신으로 마스크 공급이 안정화돼 공적마스크의 여유분이 약국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대리구매 5부제 고수에 따른 국민 불편이 약국 민원으로 이어지는 등 국민과 약사의 고충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명서는 “전국의 약사들은 코로나19로 촉발된 마스크 대란을 해소하고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해 모든 희생을 감수하고 기초방역물품인 마스크 공급에 헌신해왔다”며 “마스크 5부제 시행 50여일 동안 약사들은 약국의 기본 업무에 공적마스크 취급으로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업무량을 감수하고 휴일까지 반납하면서까지 국가 방역사업에 일조해왔다”고 밝혔다.
또한 “5부제 초기 폭주하는 문의 전화에 응대하고 국민들의 원성과 비난뿐만 아니라 욕설까지도 감내하는 것도 모자라 덕용 포장을 소분해 재포장하는 고충까지 감당했다”며 “국민을 위한 봉사라는 사명감 하나로 불평 없이 묵묵하게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꿔냈다”고 강조했다.
성명서는 “이러한 약사들의 희생과 봉사가 있었기에 마스크 대란은 진정 국면에 들어서 안정화돼 가고 있다”며 “현재는 하루 평균 800만장의 공적마스크가 공급이 되고 있고, 국민들의 마스크 소비도 감소 추세로 돌아섰으며, 약국에는 팔리지 않은 공적마스크의 재고만 쌓여가고 있다”고 짚었다.
3개 시도약사회는 “현장에서는 마스크 수급의 변화를 인지하고 대리구매 전면 확대 등 5부제의 판매지침을 개선해야 한다는 수많은 의견을 개진했음에도 기존의 마스크 판매정책을 고집하고 있는 정부의 의지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최근 정부가 내놓은 대리구매 확대가 가족관계증명서 서류 하나 추가한 것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허탈감과 실망감을 감출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는 연장하면서도 가족의 대리구매를 전면 허용해 외출 인구를 줄이자는 의견을 무시하는 정부의 태도는 국민 불편을 가중시킬 뿐”이라며 “또한 5부제 초기부터 마스크의 덕용 포장 개선을 지적하고 요구했음에도 두 달이 넘도록 개선의 기미조차 없는 것은 정부가 방치하고 있다는 의구심마저 든다”고 비판했다.
3개 시도약사회는 “정부의 현장과 동떨어진 5부제가 초래하는 국민 불편은 모두 약사들의 고충이 되고 있다. 덕용 포장의 소분 업무로 누적되는 피로감과 대리구매 마찰에 따른 스트레스는 이미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정부지침을 묵묵히 따라주고 희생과 봉사로 공적마스크 업무에 헌신한 회원들의 노고와 고충을 무시하고 국민의 불편을 외면하는 정부의 마스크 판매정책을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따라 5부제 원칙은 유지하되 국민의 공적마스크 구매 편의를 위해 대리구매자의 해당요일에 주민등록등본 혹은 가족관계증명서 상의 모든 가족들의 마스크 일괄구매가 가능하도록 전면 확대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위생적이고 제품의 정보가 제공 가능한 마스크의 판매단위 포장 이외에는 덕용 포장의 공적마스크 유통을 중단하라며 마스크 품질 및 위생 불량 제품이 공급되지 않도록 생산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여 공적마스크의 품질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여기에 공적마스크의 생산량과 판매량을 검토해 공적마스크의 1인당 구매 가능수량을 확대할 것도 주문했다.
3개 시도약사회는 “더 이상 정부는 국민 불편을 외면하지 말고, 약국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마스크 공급이 안정화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국민의 불편과 약국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루빨리 공적 마스크 판매정책을 전면적으로 개선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