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치료의 패러다임이 시설에서 집으로 옮겨감에 따라 커뮤니티케어를 위한 약사역할의 중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재가 장기요양환자 케어를 위한 안전한 의약품 관리를 위해 ‘방문약료 서비스’와 약사∙다부처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중앙대학교 약학과 서동철 교수는 1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커뮤니티케어 성공을 위한 약사의 역할과 보건의료분야 협력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약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정책적 제언에 대해 발표했다.
서동철 교수는 “약사는 성공적 커뮤니티케어를 위해 환자 맞춤형 방문 약료서비스와 병원 약사∙재택의료팀의 통합적 입퇴원 관리가 중요하다”며 “이러한 지역 밀착형 약사서비스 제공으로 인해 중복∙불필요한 약 발생을 방지해 약제비를 절감하고 질환의 합병증∙부작용 감소로 의료비 절감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지역사회 ICT활용으로 환자의 복약정보를 공유해 수준 높은 상담 제공과 의약품 관리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면서 “그 외에도 공공야간약국∙휴일당번약국 지정 등을 통해 의약품 접근성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이러한 약사의 역할이 나아가기 위해서는 ‘제도적 필요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동철 교수는 “약사의 방문약료 서비스 제도화와 약료방문 수가를 결정하기 위한 경제성평가 및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며 “시범사업 확대 및 결과평가로 약사 서비스 표준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약사 교육∙서비스를 개발하고 정보공유 위한 제도적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