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분할 조제, 근거 수집-소통 강화 필요”
정확한 현장 통계 및 환자 인식·관련 업계 소통 부재 지적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2-21 17:01   수정 2019.02.21 17:02
의약품을 분할해 조제하는 ‘의약품 분할 조제’ 문제 해결에 대한 과제가 산적한 가운데, 정확한 통계를 위한 ‘근거 자료 수집’과 환자 인식 개선 미흡, 관련 업계 논의 부족의 원인으로 꼽히는 ‘소통’이 강화돼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대강당에서는 ‘국민 건강보호를 위한 분할 의약품 관리 방안 심포지움’에서는 올바른 의약품 사용을 위한 의약품 분할 조제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토론회가 개최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동숙 연구위원은 “심평원은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를 통해 분할주의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제공한 정보 건수를 보면, 2015년 15만건에서 지난해 상반기 56만건의 정보가 제공됐다. 몇 년 사이 배로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처방 건수의 10%가 분할 투여되고 있다고 하는데 아직 현장통계가 없는 상황이다. 이것을 학회 차원, 약사회 차원에서도 고민하고 근거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숙제로 여겨진다. 또 국민들, 환자들에게도 이 같은 사안이 인식될 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 김정연 서기관은 “먼저 분할 의약품은 처방 자체에 문제가 있다. 이것은 제도적으로 반영이 돼야한다고 생각한다. 사실 처방이 고정돼있다고 보면 필요한 의약품이 나와야 되는 것이고, 저용량 의약품, 분할선, 가루약 중 어느 것이 만들어져야 할지는 선택의 문제”라고 말했다.

김 서기관은 “예를 들어 하나의 정제를 1이라고 가정하는 상황에서 제약사에게 0.33 생산을 주문하면 서로 황당하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서로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앞으로는 약사, 의사, 제약사, 정부 모두가 이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분할 의약품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이나 법령 제정의 필요성에 공감한다. 이것을 제정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필드의 데이터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런 데이터들이 많이 축적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국약사연합 박덕순 의장은 “국내 지침에 보면 커터칼 등을 사용해 자르라고 돼 있지만,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약을 절대 커터칼로 정확히 자를 수가 없다”며 “포장돼 있는 약을 다시 분할해 재포장까지 하는 것은 건 시간낭비, 비용낭비에 환경오염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박 의장은 “분절 조제처방은 저용량 의약품 존재의 부정이다. 제약사가 저용량 의약품을 만드는 이유가 분명히 있다. 또 단지 약가가 싸다는 이유만으로 분절 의약품을 처방하는 것에 대해서 강력한 억제가 필요하다. 가이드라인 또는 법령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이정민 팀장은 “분할 조제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오염 문제, 부정확한 약물 농도, 함량 불균형, 약물의 용출 과정 단축 등이다. 특히 와파린 같은 경우 정확한 양의 조제가 어려워 출혈량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약사의 저함량 약품 개발에 대해 적절한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고려해야 하며, 의사가 분할 조제를 처방한 경우 약사의 동의나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