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해 신속 생산 시스템 구축이 자국기술로 확보돼야 하는 가운데 중점기술로 탈집중화 생산시설 구축과 구조기반 AI-항원 설계기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감염병 연구 전문인력 확산을 위한 백신과정 교육 경우 GSK, 화이자,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글로벌 제약회사부터 국내 바이오텍까지 41개 업체들이 높은 수준을 보이며 수강업체들이 사내 교육으로 활용하는 등 교육 품질 및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기술연구조합(이사장 박미영, 이하 생명연구조합)은 10월 24~25일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감염병 대응 혁신플랫폼 세미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감염병연구 전문인력양성사업 성과교류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혁신주체와 감염병 대응 기술전략수립 및 인력양성 성과를 공유하고자 생명연구조합과 한국신뢰성보증연구협동조합(KSQA)이 공동 주최하는 국제컨퍼런스 세션으로 추진됐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증거기반 감염병 기술전략ˑ정책지원을 위한 데이터-정책-산업 연계방안을 주제로 논의가 진행됐다.
첫 번째 정책파트 발표를 맡은 생명연구조합 박미영 이사장/박인용 팀장은 “시스템 충격과 회복을 위한 신속 대응 전략”을 주제로 백신 신속개발 프로그램 사례연구를 소개했다.
박 팀장은 백신 신속개발 임무 달성을 위한 미국 Operation Warf Speed, CEPI 100일 미션, 일본 SCARDA의 사례를 발표하며, 감염병 발생 전 프로토타입 및 플랫폼기술 확보가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했다.
두 번째 데이터 파트 발제자인 전북대 연구데이터융합연구소 김주섭 박사는 ‘우 선순위 감염병 4종 중심으로 감염병 논문 DB분석 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박사는 COVID-19 경우 한국 연구성과는 질적 측면에서 상위 10% 논문비율이 20.2%로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며 “SFTS 경우 주요 발생국으로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세 번째 산업 파트 발제자인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추진단 홍기종 PM은 ‘백신 탈집중화생산시스템 개발을 통한 보건의료 서비스 혁신’을 주제로, 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해서는 신속 생산 시스템 구축이 자국기술로 확보돼야 한다며 중점기술로 탈집중화 생산시설 구축과 구조기반 AI-항원 설계기술을 소개했다.
다음날 진행된 제2회 K-BIORIA-KSQA 국제컨퍼런스에서는 ‘2024 과기정통부 감염병연구 전문인력양성사업’ 우수성과를 공유하는 세션이 진행됐다.
사업 총괄주관연구기관(과제1)인 생명연구조합 남승주 실무책임자는 전임상역량모델 수립을 통한 직무기반 운영시스템의 고도화, 수료생 93% 진출성과를 주요 핵심 성과로 꼽았다. 특히, 출연연 트랙 수료생 63%가 연구계로 진출하고 산업계 트랙 92%가 회사로 취업하는 등 초기 기획 방향대로 교육생들이 실습기관 특성에 맞게 해당 분야로 진출함을 확인했다.
과제2 주관연구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홍원 연구책임자는 우수인재 유치와 교육생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주요 핵심 성과로 소개했다. 특히, 산업체 연사 초청 KRIBB BIO LOUNGE와 우수 교육생 선발을 통한 해외 선진연구기관 견학 기회 제공도 소개됐다.
과제1 공동연구기관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김지호 연구책임자는 생물안전3등급 연구시설(BL3)을 활용한 연구개발서비스 인력양성 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올해는 대표적 우수성과로 교육생 실험경험에 따른 fast track제도 도입으로 교육을 가속화하고, 1:1 멘토링을 통한 연구팀과 시너지 증대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5명이 BSL3 출입 자격을 취득했다고 소개했다.
과제1 공동연구기관인 한남대학교 김인섭 연구책임자는 산업계 재교육 인력양성 운영 현황을 발표하며 산업체 수요 맞춤형 온라인 교과과정(진단/백신/치료제) 설계와 운영 실적을 공유했다.
올해 진단과정의 경우 SD바이오센서, 씨젠 등 101개 업체 520명이 참가했고 백신과정 경우 GSK, 화이자,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글로벌 제약회사부터 국내 바이오텍까지 41개 업체 148명이 참여해 높은 관심도를 확인했고, 특히 수강업체들은 해당 교육을 사내 교육으로 활용하는 등 교육의 품질 및 만족도가 높았다고 전했다.
이날 현장실습기관 가운데 우수책임요원을 선발하여 감사패를 수여햇다.
생명연구조합 박미영 이사장은 “2025년에는 지금까지 축적된 성과를 종합화하고 2단계로 도약할 수 있도록 성과를 고도화하는 데 주력할 것”을 당부했다.
01 | 제약바이오협 "식약처 WHO 우수규제기관 목... |
02 | 씨젠, 2분기 매출 전년비 14%↑ 1141억원∙영... |
03 | 한국콜마, 2분기 매출 7308억원…전년比 10.7... |
04 | 약업신문 HLB 기사, 팩트 입각한 정론 보도 |
05 | 제이피아이헬스케어,수요예측 경쟁률 942.71... |
06 | 릴리 경구 GLP-1 복용 72주 후 체중 12.4% ↓ |
07 | 디앤디파마텍, 섬유화질환 치료제 'TLY012' ... |
08 | 큐로셀, '안발셀' 성인 백혈병 임상1/2상 I... |
09 | 넥스모스, ‘압타민C’ 국제저널 ‘Frontiers i... |
10 | 원텍 ‘베인케어’, 브라질 의료기 인증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