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원료약 국산화 추진...'제약주권' 전세계 추세 동참
제약사와 협력 필수의약품 원료 생산 증대
보건부, 10개 원료의약품 생산 우선 추진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8-23 11:06   수정 2024.08.23 11:15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약 주권을 위해 원료의약품 국산화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인도네시아 정부도 제약산업 자급화를 본격 추진한다.

한국무역협회 자카르타지부가 최근 낸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현지 공급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제약회사와 협력해 필수 의약품 원료 국내 생산을 늘리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발열, 고혈압, 당뇨병, 심장마비 등 질환에 사용되는 37개 주요 의약품 원료를 생산하고 있다. 

현지에서 생산되는 의약품 종류는 파라세타(Paracetamol), 오메프라졸(Omeprazole),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시타글립틴(Sitagliptin) 등으로, 올해  텔미사르탄(Telmisartan), 목시플록사신9(Moxifloxacin),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등 8개 원료의약품을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보건부는 10개 원료의약품 국내 생산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보건부는 완전한 국내 생산을 달성할 시, 의약품 수입을 19.42% 줄여 약 1조 4천억 루피아(8,790만 달러)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현지에서 생산되는 22개 의약품 원료 수입을 규제할 것을 제안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도 제약주권을 실현시키기 위해  원료의약품 국산화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