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 비타민, 제약업계 新 캐시카우 될까?
뼈 건강 제품 시장 달굴 듯...활용 가능성 높아 기회 무궁무진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8-23 06:00   수정 2024.08.23 06:00

K2 비타민이 제약업계 새 캐시카우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DALL.E

지속 성장을 위한 캐시카우 확보를 위해 많은 제약업계가 건강기능식품에 주력하는 가운데, K2 비타민이 제약업계 새로운 캐시카우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비타민 K2를 건강기능식품(건기식공전에 새롭게 등재했다유럽에서는 이미 2009K2를 식품원료로 승인한 바 있고해외시장에서는 K2를 활용한 보충제들을 다양하게 출시 중인 것에 비하면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그럼에도 업계는 다양한 뼈 건강 제품들이 시장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비타민K의 원료로 K1을 사용할 수 있었다하지만 K1은 뼈를 형성하는 기능보단 혈액응고에 초점이 맞춰져 칼슘제품과 함께 배합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런데 K2는 뼈와 혈관벽 사이 칼슘의 이동에 관여하는데혈액으로 흡수된 칼슘이 실제 뼈를 구성하도록 만드는 작용을 한다즉 칼슘과 병용하면 칼슘이 골격이나 치아로 유입돼 뼈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국내 제약기업들이 앞다퉈 관련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HLB제약은 골다공증 발생위험을 낮추고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기식 '콴첼 비타민 K2+D3'를 출시했다.

이 제품에 함유한 노시스 비타민 K2(메나퀴논-7, MK-7)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효능이나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한 원료라고 회사는 강조했다

비타민 K2 발효제조공법에 4개국(한국미국, EU, 일본특허기술이 적용됐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안전원료인증(GRAS), 유럽식품안전청(EFSA) 노벨푸드, Non-GMO 등 글로벌 안전 인증도 획득했다

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낫토균주를 발효해 얻은 비타민 K2 원료를 사용했으며생체 활성 및 체내 이용률이 높은 트랜스 형태를 띤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비타민 K2와 함께 뼈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칼슘의 흡수를 돕는 비타민 D3도 함께 배합했다활성형 비타민 D3를 사용해 체내 활성도와 흡수율을 높였다.

동성제약은 일본 J-오일밀즈사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또 균주에서 발효 추출한 비타민 K2(MK-7) 원료 메나또의 국내 독점 수입 및 유통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동성제약은 이번 계약으로 비타민 K2가 풍부한 메나또 원료를 활용해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개발, B2B 원료 공급 사업을 추진한다.

동성제약과 계약을 체결한 파트너사 일본 J-오일밀즈는 190년 이상의 사업 연혁을 보유한 기업으로 비타민 K2를 비롯한 오일지방식자재 등 다양한 건강제품의 제조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J-오일밀즈가 1997년에 개발한 비타민 K2 메나또는 약 30년간 일본 내 비타민K2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고 10개의 인체적용 임상(골다공증심혈관 외)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K2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다.

제노포커스도 최근 국내 건기식 브랜드 뉴트리코어 및 닥터린에 K2 공급을 시작했다

회사에 따르면 각 브랜드에서 출시한 프리미엄 K2 제품을 현재 홈쇼핑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판매 채널에서 판매 중이다회사는 다양한 건기식 업체들로부터 받는 K2 공급 요구 사항에 맞는 제품 공급을 위해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노포커스는 국내 K2 시장 개화로 자회사 지에프퍼멘텍이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지에프퍼멘텍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천연비타민 K2를 생산할 수 있는 국내 유일 업체라고 설명했다

제노포커스 관계자는 "올해 비타민K2 매출은 국내 시장 본격 개화 및 해외 수출 증가로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를 예상하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뼈 건강 관심 증가로 국내 K2 시장 고성장 지속이 예상되는 만큼 시장 공략을 위해 수요 업체들과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원료의약품 전문기업 삼오제약도 K2 시장 공략을 위해 준비 중이다회사 관계자는 현재 이탈리아 노시스사에 K2원료를 독점공급하고 있으며자체 브랜드 완제품 출시도 계획 중이라고 전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업 다각화에 건기식만큼 적합한 사업도 없다고 전한 뒤 특히 K2는 뼈 건강 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 개선피부미용혈관 건강 개선 등 여러 기능강화 소재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성이 높기에 훨씬 더 많은 기회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