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 벤처기업 지엔티파마(대표이사 곽병주)는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 신약 ‘제다큐어’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화이자 센터원과 선진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cGMP)에 따라 완제의약품을 생산하는 포괄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화이자 센터원은 세계적인 미국 제약·바이오 기업인 화이자 자회사로, 세계 30여 곳에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는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제다큐어 미국, 유럽 등 시장 진출을 위해 글로벌 동물용의약품 기준에 맞는 위탁제조 및 품질관리 등 토탈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다큐어 원료의약품 ‘크리스데살라진’은 중국 헹디안그룹 ‘아펠로아제약’에서 생산하고 있다.
지엔티파마가 개발한 제다큐어는 사람 알츠하이머 치매와 유사한 인지기능장애증후군을 앓고 있는 반려견에서 약효와 안전성이 입증돼 2021년 2월 합성신약 동물용의약품으로 승인받았다. 현재 유한양행을 통해 1,800개가 넘는 동물병원에서 처방되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제다큐어 국내 판매 소식이 알려지면서 이를 구매하려는 해외 반려인과 동물병원의 요청도 증가, 최근까지 미국을 비롯한 21개국에서 200여건의 구매 요청이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99곳으로 가장 많고 브라질 13곳, 일본 11곳, 영국 9곳, 멕시코 7곳 등 순이다.
지엔티파마 애니멀 헬스 사업본부 이진환 본부장은 “현재 러시아, 대만 및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에서 제다큐어의 공급을 기다리는 상황”이라며 “화이자 센터원에서 제다큐어 생산이 완료되는 대로 판매 지역을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반려동물용품협회(APPA)에 따르면 2020년 미국 내 전체 반려견 수는 8,970만 마리로 파악되고 있다. 이 가운데 인지기능장애증후군 환견 수는 노령견 비율(52%)과 발병률(21.4%)로 산출했을 때 998만마리로 추정된다. 유럽은 전체 반려견 수 7,200만마리 가운데 801만마리가 인지기능장애증후군 환견으로 추정된다.
지엔티파마는 제다큐어를 미국 시장에 판매할 경우 펫보험 가입률(4%)을 적용했을 때 연간 매출 약 574억원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유럽 경우는 상대적으로 높은 펫보험 가입률로 인해 연간 매출 약 1,140억원이 예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지엔티파마는 최근 글로벌 동물용의약품 제약사들과 제다큐어 해외 판권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엔티파마 곽병주 대표이사(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겸임교수)는 “인지기능장애증후군에 걸린 노령견이 제다큐어를 복용한 후 기억을 회복하고 일상생활이 가능해지는 치료 효과가 임상시험과 시판 후 조사에서 확증됐다”며 “국내 동물병원에서 약효와 안전성이 충분히 밝혀진 만큼 전 세계 반려동물과 반려가족을 위해 제다큐어 해외 진출을 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늘의 헤드라인
01
서울에 모인 한·중 제약바이오 리더들…"전략...
02
"유전체데이터 혁신 앞장" NDS, 'AWS 퍼블릭...
03
디티앤씨알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
04
해외 의약품 제조소, 미국 FDA ‘기습 불시 ...
05
아리바이오, 저주파 음향진동 전자약 기술 S...
06
케어젠, 튀르키예 ‘아타바이’ 와 펩타이드 ...
07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
08
UNICEF “전세계 비만아동 최초 저체중아 추월”
09
헐리우드와 빅파마 만남…줄리안 무어-릴리 ...
10
MoCRA 제대로 모르면 낭패, 선케어 미국 수...
[산업]
지엔티파마, 화이자 '센터원'과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 신약 ‘제다큐어’ 해외 판권 계약
[산업]
지엔티파마, 화이자 '센터원'과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 신약 ‘제다큐어’ 해외 판권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