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오노약품공업(대표 최호진)과 한국BMS제약(대표 이혜영)은 면역항암제 ‘옵디보(니볼루맙)’의 진행형 또는 전이성 신세포암 1차 치료에 대한 3상 임상 연구 2건이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된 미국임상종양학회 비뇨생식기암 심포지엄(ASCO GU 2024)에서 공개됐다고 1일 밝혔다.
CheckMate-214 연구에서 옵디보는 여보이와의 병용요법을 통해,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신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7년에 가까운 반응지속기간을 보이며 수니티닙 대비 생존기간을 장기간 개선했다. 또한 CheckMate-9ER 연구에서는 카보잔티닙과의 병용요법으로 질병 부담이 높은 중등도 및 고위험군 환자와 폐, 간, 뼈 등 전이 위치에 따라 분류한 하위 환자군에서 일관된 생존 혜택을 나타냈다.
◇옵디보-여보이 병용, CheckMate-214 3상 8년 연구 결과 6.9년의 반응지속기간 보여
옵디보-여보이(이필리무맙) 병용요법은 CheckMate-214 3상 임상을 통해 중등도-고위험 예후 인자를 가진 환자 및 전체 무작위 환자군에서 수니티닙군 대비 더 높은 생존율과 더 긴 중앙반응기간을 보였다. 연장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새롭게 나타난 안전성 징후는 없었다.
중등도와 고위험군 환자 847명 중, 옵디보-여보이 병용군 425명은 수니티닙 대비 전체 생존기간(OS), 무진행생존기간(PFS), 객관적 반응률(ORR), 반응지속기간(DOR) 개선을 보이며, 치료 8년 후 시점에서도 반응을 보이는 환자는 50%로 나타났다.
중등도 및 고위험군 환자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병용군이 46.7개월, 수니티닙군이 26개월이었다. 치료 90개월 시점의 전체생존율은 각각 옵디보-여보이 병용군에서 32.9%, 수니티닙군에서 22.0%였다.
반응지속기간 중앙값은 옵디보-여보이 병용군 82.8개월, 수니티닙군 19.8개월로 나타났다.
독립방사선심사위원회(IRRC)가 측정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옵디보-여보이 병용군에서 12.4개월, 수니티닙 투여군에서 8.5개월로 나타났으며, 치료 90개월 시점 무진행생존율은 각각 옵디보-여보이 병용군 25.4%, 수니티닙군 8.5%로 약 3배가량의 차이를 보였다.
병용군의 객관적 반응률은 42%로 수니티닙 투여군의 27% 대비 더 높았다. 완전반응(CR)은 병용군이 12%로 수니티닙군 3%보다 4배가량 높았다.
텍사스 대학교 MD 앤더슨 암센터 비뇨생식기암 분과 교수 니자르 테니르(Nizar Tannir) 박사는, “진행형 신세포암 치료를 위한 면역관문억제 병용요법 3상 임상 중 가장 장기 추적 연구인 CheckMate-214 임상을 통해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이 치료 8년 후까지 수니티닙 대비 우월한 생존 효과와 더 지속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중등도 및 고위험군 환자 대상으로 긍정적 장기 치료 결과를 가능케 하는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옵디보-카보잔티닙 병용, CheckMate-9ER 3상 4년 추적 연구 결과 수니티닙 대비 장기 생존 혜택 확인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 없는 진행형 또는 전이성 신세포암 환자에서 옵디보-카보잔티닙 병용요법과 수니티닙을 비교하는 CheckMate-9ER 임상의 4년 추적 연구 결과, 옵디보-카보잔티닙 병용요법은 국제 전이성 신세포암 데이터베이스 컨소시움(IMDC)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한 위험군 분류와 관계없이 수니티닙 대비 우월한 무진행생존기간, 전체 생존기간 및 더 높은 객관적 반응률을 확인했다.
추적 기간 중간값 55.6개월 시점에 옵디보-카보잔티닙 병용군으로 무작위 배정된 모든 환자 323명은 수니티닙 투여군 328명 대비 여러가지 유효성 평가변수에 걸쳐 지속적인 치료 혜택을 경험했다.
옵디보-카보잔티닙 병용군의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16.4개월로 수니티닙군의 8.4개월 대비 2배가량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체 생존기간은 46.5개월로, 수니티닙군의 36개월 대비 우월한 생존 혜택을 이끌어냈다. 객관적 반응률은 55.7%로 수니티닙군 27.7% 대비 2배가량의 수치를 보였다.
완전반응은 수니티닙군의 4.6% 대비 3배가량 높은 13.6%로 나타났다. 반응지속기간 중앙값은 22.0개월로, 수니티닙군의 15.2개월보다 더 길었다.
본 추적 연구에서 새로운 안전성 관련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치료를 받은 전체 환자 중, 옵디보-카보잔티닙 병용군의 97.5%, 수니티닙군의 93.1%에서 모든 등급의 치료관련 이상반응(TRAE)이 나타났다. 3등급 이상 치료관련 이상반응은 병용군의 67.5%, 수니티닙 투여군의 55.3%에서 나타났다.
멕시코 살바도르 주비란 국립의학·영양연구소 비뇨생식기암 클리닉의 마리아 테레사 부를롱(Maria Teresa Bourlon) 박사는, “신세포암은 치료가 매우 어렵고 진행형을 진단받거나 전이로 발전되는 환자들의 경우 흔히 나쁜 결과를 마주하게 된다”며, “이번 CheckMate-9ER의 업데이트된 임상 결과는 사망률 23% 감소를 포함해 다양한 평가변수에 걸쳐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주며, 이러한 치명적 질병의 1차 치료 옵션으로서 옵디보와 카보잔티닙 병용요법의 역할을 뒷받침해준다”고 말했다.
01 | 서울에 모인 한·중 제약바이오 리더들…"전략... |
02 | "유전체데이터 혁신 앞장" NDS, 'AWS 퍼블릭... |
03 | 디티앤씨알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 |
04 | 해외 의약품 제조소, 미국 FDA ‘기습 불시 ... |
05 | 아리바이오, 저주파 음향진동 전자약 기술 S... |
06 | 케어젠, 튀르키예 ‘아타바이’ 와 펩타이드 ... |
07 |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 |
08 | UNICEF “전세계 비만아동 최초 저체중아 추월” |
09 | 헐리우드와 빅파마 만남…줄리안 무어-릴리 ... |
10 | MoCRA 제대로 모르면 낭패, 선케어 미국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