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장 공략, 오픈 이노베이션 가속화로 제약바이오 중심국가 도약"
제약바이오協 노연홍 회장 기자회견...R&D 지원확대, 예측가능한 약가제도 설계 등 정부 건의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1-30 11:15   수정 2024.01.30 11:29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은 30일 협회 4층 강당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약업신문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제약바이오 중심국가 도약을 위해 혁신 성과 창출하는 생태계 확립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 및 제조 역량 고도화 해외시장 공략 및 오픈 이노베이션 가속화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미래 전략 준비를 약속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은 30일 협회 4층 강당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노연홍 회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제약바이오 강국은 시대적 요구로 분출돼 관련 산업 혁신을 재촉하고 있다가속화하는 자국 우선주의와 경기 둔화 여파로 세계 각국은 보건안보 확립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을 강화하며 미래를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 의지도 확고하고산업 혁신 요구 역시 거세다고 전한 뒤 “AI 활용 등 융복합 혁신과 과감한 R&D,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신약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며품질관리 시스템 구축의약품 공급망 강화공정거래 질서 확립에도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협회와 제약업계는 올해를 제약바이오 중심국가 도약을 향한 혁신역량 강화의 해로 만들어 가겠다는 계획이다

먼저 혁신 성과 창출을 위한 생태계 확립을 위해 민관 역량을 극대화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R&D 선순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또 제약바이오 디지털 혁신 환경을 적극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 및 제조 역량 고도화를 위해서는 원료의약품필수의약품 국내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위기상황에 대비한 개발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국내 개발 생산 의약품의 제조 품질 혁신도 이루겠다고 다짐했다

해외시장 공략 및 오픈 이노베이션 가속화를 위해 민관 협력 맞춤 전략으로 국내 기업과 의약품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로 했다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을 강화해 블록버스터 창출 기반을 만들고, 온라인 기술거래 플랫폼 활성화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지속가능 성장위한 미래 전략 준비를 위한 방안으로는 인재양성시장 투명성 제고 및 윤리경영 환경 조성환경 변화 선제적 대응 방안 마련 등을 제시했다

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은 계속 성장 중이다의약품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13206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1% 상승했으며 바이오약품 시자은 4777억 달러로 10.0% 상승했다

M&A 2023년 총 118, 1910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34.5% 증가했으며 차세대 모달리티는 2022년 기준 80억 달러 규모이나 2027년까지 27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도 동반 성장하고 있다. 2022년 의약품시장은 2985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7.6% 증가했고상장사 R&D투자는 43894억원으로 23.9% 늘었다

R&D 파이프라인은 2018573개에서 20222627개로 늘었고 기술수출도 20281252836억원에서 20232079452억원으로 증가했다이외 의약품 수출 및 선진시장 진출 건수 역시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구개발 지원 확대’, ‘예측가능한 약가제도 설계’, ‘AI 활용 신약 개발 등 기술 지원’, ‘ 해외 시장 진출 제도적 지원 마련’ 등의 정책을 정부에 제안했다

노 회장은 “2027년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거듭날 때까지 협회 회원사들과 함께 할 것이며,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협회 직원들과 함께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