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와도 연관 ‘변비’ 예방하는 ‘톱 5’ 식품은?
美 비영리 의사단체 “콩, 과일, 채소류, 통곡물, 씨앗류”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7-24 17:31   수정 2023.07.24 17:32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국제 알쯔하이머협회 학술회의(AAIC)에서 변비와 장내(腸內) 미생물군집이 알쯔하이머 및 뇌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강조한 새로운 연구사례들이 발표됐다.

이와 관련, 총 1만7,000여명의 의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 1985년 설립되어 미국 워싱턴 D.C.에 본부를 두고 있는 의료 관련 비영리기구 ‘책임감 있는 의학을 위한 의사위원회’(PCRM)이 腸 건강 개선과 변비 예방에 도움을 주는 ‘톱 5’ 식품을 20일 공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책임감 있는 의학을 위한 의사위원회’의 회장을 맡고 있는 조지워싱턴대학 의과대학의 닐 바너드 부교수는 “우리는 변비가 인지력의 눈에 띌 만한 악화와 관련이 있다는 문제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바너드 부교수는 “치매와 알쯔하이머가 나타날 위험성을 낮출 수 있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며 “섬유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콩, 과일, 채소류, 통곡물 및 씨앗류가 변비을 예방하는 데 좋은 ‘톱 5’ 식품들이라는 점이 바로 그것”이라고 강조했다.

매사추세츠주에 소재한 앰허스트대학 공중보건대학의 차오란 마 박사와 국제 알쯔하이머협회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연구팀은 “腸 운동 횟수의 감소가 취약한 인지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1일 1회 배변하는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배변간격이 3일을 상회하는 변비환자들의 경우 인지력의 악화가 눈에 띄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다시 말해 배변간격이 3일을 상회하는 사람들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지력의 노화가 3.0년 정도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