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팜비오는 알약형 장정결제의 전반적 만족도가 물약형 장정결제에 비해 2.5배나 높다는 조사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6~69세 남녀 중 최근 5년 내 대장내시경 경험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 결과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마크로밀 엠브레인이 지난 4월 14~22일 조사한 ‘대장내시경 의약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장내시경 검사에 사용하는 알약형 장정결제(오라팡정)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82.7%로 물약(가루)형 장정결제(33.3%)에 비해 2.5 배가 높았다.
반면 부정적인 평가(불만족도)는 알약 장정결제(2.0%)가 물약 장정결제(27.3%)보다 무려 13.6배나 낮았다 특히 ‘복용 편의성(84.7%)’과 ‘거부감 없는 맛(82.0%)’에 있어서는 물약(28%/24%)에 비해 알약이 3~3.4배가량 높게 나타났다고 회사는 전했다.
이는 알약 장정결제가 장정결제 특유의 불쾌한 맛으로 대장내시경 검사 자체를 꺼리게 했던 기존 물약 장정결제의 불편을 개선한 약이라는 점에서 대장내시경 검진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복용량이 28정인 알약 장정결제는 복용량 만족도가 58.7%로 타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물약(17.3%)보다는 월등히 높았다.
알약형 장정결제 인지도는 82.7%로 높았으며 주로 병원 처방과 지인 추천을 통한 인지가 많았다.
알약 장정결제의 전반적인 효과 기대는 긍정적이나 장정결 효과(57.7%) 및 부작용(50.0%)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얄약 형태라는 특징만으로는 장정결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연상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는 게 회사 분석이다.
전체 응답자 중 향후 복용 희망 장정결제의 종류는 알약(76%)이 물약(24%)보다 높아 조사 대상 4명 중 3명이 알약 복용을 선호했으며 향후 알약형 장정결제 복용 의향은 87%로 매우 긍정적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 처음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나이는 평균 40.7세, 총 검사 횟수 평균은 약 3회였다. 2년에 1회 주기로 검사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01 | 지아이이노베이션,면역항암제 'GI-101' 임상... |
02 |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상반기 매출·수익성 크... |
03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꽉 잡은 지역은? 유럽…... |
04 | "세계 최대 시장 뚫었다" 대웅제약 펙수클루... |
05 | SK바이오팜, 상반기 엑스코프리 매출만 3000... |
06 | 대한약사회 “의약품 수급불안, 동일성분 대... |
07 | 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국내 희귀... |
08 | 첫 '화장품의 날' 5일 서울 마곡에서 기념식... |
09 | 셀트리온, 상반기 R&D 투자만 2297억원…매출... |
10 | 끝나지 않은 코로나19, 국내외 전문가들 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