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올해 계약규모 1조원 돌파...K-제약바이오 기술수출 선도"
"경기침체 뚫고 동종 업계 중 최대 규모" 강조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5-12 10:12   
대웅제약 전경. ©대웅제약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올해 자사가 체결한 3건의 신약 및 신약 후보물질 기술수출 규모가 11621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작년부터 이어지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업계 투자 축소 기조를 극복하고 정부가 강조하는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 및 수출 부문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올해 1월부터 지금까지 체결된 국내 제약바이오 회사들의 기술수출 계약 중 단일 기업 기준 대웅제약이 맺은 기술수출 금액이 동종 업계에서 최대 규모다.

대웅제약은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기간 동안 열린·미 디지털·바이오헬스 비즈니스 포럼에서 미국 생명공학 투자 회사 애디텀바이오 포트폴리오 회사 비탈리바이오에 경구용 자가면역 치료 신약 후보물질 DWP213388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권리를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로열티 수익을 제외한 계약규모만 47700만 달러( 6391억원)이다.

임상 1상 전 단계인 신약 후보물질로서는 상당한 기술가치를 인정받은 것인데이번 계약에는 DWP213388 외에도 대웅제약이 개발 중인 신약 후보 물질 2개의 기술이전이 계약 옵션으로 포함돼 있다옵션권 실행 시 국내 제약회사의 다중 파이프라인 자가면역치료제 기술수출 중 최대 규모로 올라선다.

DWP213388은 은 B세포, T세포 등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표적 단백질인 브루톤 티로신 키나아제(Bruton's Tyrosine Kinase, BTK)와 인터루킨-2-유도성 T-세포 키나아제 (Interleukin-2-inducible T-cell Kinase, ITK) 이중 표적을 저해할 수 있는 계열 내 최초 신약이다글로벌 제약산업 및 임상개발 경험이 풍부한 애디텀 바이오 경영진은 이번 계약을 통해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해 자가면역질환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앞서 대웅제약은 올해 1월 영국 씨에스파마슈티컬스와 PRS(Prolyl-tRNA Synthetase)와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인베르시포로신(DWN12088)’ 중화권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베르시포로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지난 해 임상 2상 승인과 패스트트랙 품목 지정을 받은 신약이다해당 기술수출 계약은 대웅제약이 첫 번째로 세계 최초 혁신 신약에 도전하는 후보물질을 해외에 수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계약규모도 33600만 달러(4130억원)에 달한다이는 국내 제약바이오 회사가 지난 5년간 중화권에 기술수출한 저분자화합물 파이프라인 중 두 번째로 계약규모가 클 뿐 아니라진단시약을 제외한 의약품 중에서는 최대 규모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지난 2월에는 국내에도 갓 시판된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엔블로의 중남미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계약규모는 기술료를 포함한 8436만 달러(1100억원)이는 지난 5년간 국내 제약바이오사가 중남미 국가에 수출한 파이프라인 중 최대 규모다대웅제약의 나보타 중남미 수출로 인연을 맺은 목샤8이 내년 하반기 브라질 및 멕시코 현지 판매를 목표로 협력할 계획이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매년 매출의 10% 이상을 신약 개발에 투자해온 결과지난 2022년부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신약 출시에 이어 2년 연속 당뇨병 신약 엔블로를 출시하며 국내 신약 발전사를 새롭게 쓰고 있다고 전했다

대웅제약 전승호 대표는연초부터 잇따른 대규모 기술수출 계약으로 대웅제약이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신약 개발 강자로 조명받고 있다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래 먹거리인 신약 개발과 수출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해 해외에서 직접 뛰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