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메닥스(대표 유무영)가 최근 국내 최초로 교모세포종(뇌종양) 환자의 임상 1상 붕소중성자포획치료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은 뇌 신경계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다. 2005년 교모세포종의 치료로 테모졸로마이드와 방사선을 동시에 치료하는 항암방사선병행요법의 임상적 결과가 발표되기 전까지, 교모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율은 7개월을 넘지 못했다.
항암방사선병행요법 시행으로 평균 생존율이 약 11개월로 높아져 현재까지 교모세포종의 표준치료로 자리잡았지만 면역항암제 시대로 진입하면서 생존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다른 암종과 달리 교모세포종의 치료는 뇌의 구조적 특이성으로 치료가 어려워 2005년 이후로 현재까지 답보상태다.
하지만, 중성자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이 열리고 있다. 지난 2020년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는 일본연구그룹이 교모세포종이 재발한 환자 27명의 붕소중성자포획치료 결과를 발표했는데 평균 생존기간이 18.7개월이라는 고무적인 결과를 보인 것.
국내에서도 붕소중성자포획치료가 최초로 임상시험에 진입해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 대상으로 27일 치료를 시작했다.
이는 일본에 이어 세계 2번째로 상용치료를 위한 임상시험으로 2023년 두경부암에 대한 IND 신청에 이어 피부 흑색종, 간암, 폐암 등 다른 난치성암의 임상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시험은 송도 BRC센터(길병원 뇌질환센터) 내 BNCT 의원에서 진행했다. 환자는 입원한 병원에서 치료를 위한 검사와 사전 치료계획(CT-sim등)을 수립하고 BNCT 의원으로 이동해 중성자 치료 한시간 전 붕소의약품을 정맥주사로 받는다.
회사에 따르면 주사한 붕소의약품은 작용기전상 암세포에 선별적으로 섭취된다. 이후 환자는 치료실로 이동해 치료대에 누워 중성자빔이 나오는 포트에 환부를 대고 한 시간 동안 중성자빔을 조사한다. 환자는 치료 후 기본 검사를 받고 퇴원해 3개월 단위로 경과를 지켜본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붕소중성자포획치료가 새 암 치료로 주목받는 이유는 치료원리상 붕소의약품이 흡수되는 세포단위까지 치료가 가능해 눈에 보이는 암덩어리(고형암) 치료만 가능한 기존 방사선, 입자치료에 비해 개별 세포까지 작용, 침윤성암, 미세암, 분산암뿐 아니라 재발암 치료도 가능하고 1회치료 진행을 원칙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일본에서 2020년 3월 붕소중성자포획치료의 품목허가를 얻어 치료효과로서의 검증도 완료됐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다원메닥스 유무영 대표는 "이번 붕소중성자포획치료 임상시험을 시작으로 앞으로 난치암 위주로 적응증을 확대해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