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다기능 의료기기: 정책 및 고려사항 가이드라인’ 한국어 번역판 배포
아주대학교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촉진 지원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8-29 19:34   

아주대학교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가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촉진지원을 위해 미국 FDA의 '관련 종사자 및 FDA 관계자를 위한 다기능 의료기기: 정책 및 고려사항 가이드라인' 한국어 번역집을 29일 배포한다. 

해당 번역집은 'Mutiple Function Device Products: Policy and Considerations Guidance for Industry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Draft)'의 한국어 번역판으로서, 의료기기 기능의 안전성·유효성을 평가할 때 모든 다기능 의료기기에 평가에 유사한 접근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 점을 강조하였고, 다기능 의료기기에 대한 FDA의 규제 관련 평가 원칙, 시판 전 검토 관행 및 정책을 확인하고 이러한 정책 적용의 예시를 전달하고 있다.

특히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FDA 검토 대상이 되는 의료기기 기능의 안전성·유효성에 대한 시판 전 검토 대상이 아닌 '기타 기능'의 영향을 평가할 시기와 방법을 명확히 하고 있다. 또한 의료기기에 대한 '기능'이라는 용어는 의료기기의 명확한 목적을 의미하며 이는 의료기기의 의도된 사용 또는 의도된 사용의 하위 집합을 의미함을 강조하며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다기능 의료기기와 관련된 정책 및 고려사항부터 검토 중인 의료기기 기능에 대한 기타 기능의 영향 평가, 검토 중인 의료기기 기능에 대한 시판 전 제출 내용, 다기능 의료기기의 기타 기능에 대한 수정, 기타 의료기기 적용 및 시판 후 요구사항까지 유형별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고 있다.

번역집은 신청자를 대상으로 배포할 예정이며, 홍보 이미지 내 QR코드 또는 온라인 구글 설문을 통해 해당 번역집과 이전에 발간된 번역집들까지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는 이번 번역집을 통해 “융복합 의료제품 관련 종사자들이 다기능 의료기기 제품의 평가 사례와 다기능 의료기기에 해당될 경우 관련 규제정보에 대한 FDA의 평가 원칙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