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 '3D프린팅 인공지지체' 소이증환자에 이식 성공
강남세브란스병원 윤인식 교수팀 집도…소이증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기회 제공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8-23 11:02   수정 2021.08.23 11:03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대표이사 윤원수)은 자사가 개발한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를 강남세브란스병원의 윤인식 교수의 집도로 성공적으로 환자에게 이식했다고 23일 밝혔다.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대표이사 윤원수)은 자사가 개발한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를 강남세브란스병원의 윤인식 교수의 집도로 성공적으로 환자에게 이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제품은 외측성 소이증 환자 대상의 귀 재건용 맞춤형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로, 티앤알바이오팹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 윤인식 교수팀은 지난해 식약처로부터 연구자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완료하고, 연구자 주도 탐색 임상시험을 진행해 왔다. 

티앤알바이오팹에 따르면 이번 소이증 환자에게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맞춤형의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를 이식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임상 적용 사례다.

또한 소이증은 선천적으로 한쪽 또는 양쪽의 귀가 정상보다 훨씬 작고 모양이 변형된 상태의 질환이다. 기존의 소이증 환자 귀 재건 수술은 환자 본인의 가슴 연골을 이용해 귀의 형태를 반대쪽 귀와 유사하게 가공한 뒤 재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자사의 환자맞춤형 귀 재건용 인공지지체는 독자적인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소이증 환자의 정상 귀와 동일하게 설계∙제작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생체흡수성 재료(Polycaprolactone, PCL)를 사용해 이식 후에는 인공지지체가 서서히 분해되면서 환자 본인의 조직으로 대체된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식 수술을 집도한 임상 책임자 윤인식 교수는 “환자의 자가 연골을 활용하는 기존 방식의 귀 재건 수술의 경우 연골을 뗀 자리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10세 이전의 소아 환자는 연골이 다 자라지 않아 수술이 어렵다”며 “이번 임상을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보다 많은 소이증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임상은 티앤알바이오팹이 추진 중인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3D 프린팅 의료기기 산업기술 실증사업’ 정부 과제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