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산업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선 정부가 글로벌 인프라를 마련, 가치사슬의 안정화 구축을 해야한다는 의견에 산업계가 입을 모았다.
20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는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 1년, 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정부부처와 산업계가 모여 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선 글로벌 임상을 할 수 있는 규모도 시설도 마땅치 않고, 금액도 비싸기 때문에 제약산업 가치사슬(R&D기획, GMP, 임상, 인허가, 마케팅, PM)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약사가 많아 글로벌 진출에 문제가 된다는 것.
HK 이노엔 송근석 상무는 “백신 개발의 경우 특히 대규모 임상이 필요하다. 백신 특성상 소아 임상이 많은데, 국내는 시행하기 힘들어 동남아를 나가야 하고 이는 돈도 많이 필요하다. 이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제약사로서는 리스크가 될 수 있다”며 “이런 부분을 국가가 지원해줄 수 있는 트랙을 만들어 줘야한다”고 말했다.
파멥신 유진산 사장은 “한국은 우수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바이오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임상시험 개발의 핵심인 비임상/임상 CRO, C-CMP 공정 구성 관련 인허가를 위한 컨설팅 기업을 글로벌 전문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유 사장은 단기적으로는 민‧관‧연‧병의 협업을 통해 사업화 관점에서의 선진 인허가 제도 벤치마킹, 글로벌 미충족 수요를 중심으로 한 신약 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아시아 권역을 중심으로 한 광역시장 형성과 인허가 교차 승인 등 다양한 글로벌 권역 확대를 위한 산업 기반 확보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윤호열 전무도 “바이오산업의 성공 특징은 글로벌 공급사 유치라고 볼 수 있다. 국내사 만으로는 유지하기 힘들다”며 “글로벌 생태계로 도입하는 부분에서 정부는 이를 할 수 있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수출과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사업 확대를 위해 해외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에 CDO R&D 센터를 구축할 계획으로 국내 제약사의 글로벌 노출을 위한 교두보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정부도 미국 보스턴 등에 정부 주도의 해외 바이오 R&D 거점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 윤 전무의 제언이다.
윤 전무는 “바이오 R&D 활성화와 라이선스 아웃 지원을 위해 정부-국내기업-투자사 협력 모델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글로벌 거점 운영으로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및 기술 수출을 지원하고, 기업은 미국 내 인프라를 활용하고 해외 기업 혹은 대학과 공동 기술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부처도 산업계의 의견에 국내 가치사슬 마련을 위한 맞춤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공감했다.
산업연구원 최윤희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붕괴되고 있는 글로벌가치사슬 환경 변화는 국내 바이오의약품산업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라며 “산학연 협력과 함께 국내 기업 간 연계와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국내 경쟁력의 양적‧질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뉴노멀시대의 글로벌 구축을 전략적,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