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젠,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개발 시기 절반으로 단축
북미 지역 Track 개발 전략에서 3주 앞당겨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4-10 14:00   수정 2020.04.10 14:12

신라젠(대표이사 문은상)은 ‘COVID-19’(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발굴이 기존 공지한 6주에서 3주로 단축됐다고 10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달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북미지역(미국, 캐나다)에서 물질 개발을 진행하는 'Fast Track'은 6주 이내, 국내에서 진행하는 'Regular Track'은 12주 이내로 예상된다고 공지했다.

회사는 앞당겨진 개발 일정에 따라 다음 주 북미지역에서 후보 물질 2종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차주에는 본격적으로 동물실험에 돌입할 예정이고, 동물실험을 위한 발주도 현재 마무리 단계라고 설명했다. 

신라젠에 따르면 개발 중인 ‘COVID-19’ 백신은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매개체(viral vector)로 하며, 현재 신라젠과 같은 방법으로 COVID-19 백신을 개발하는 기관으로는 중국 군사의학원과 영국 옥스퍼드대학이 있다. 이들 기관은 아데노바이러스의 COVID-19 항원을 발현한 물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신라젠은 백시니아 바이러스가 과거 약 200년 동안 천연두 바이러스 백신으로 사용돼, 수백만 명에게 접종한 경험을 갖고 있어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립된 바이러스라는 점에서 바이러스 특성상 아데노바이러스 보다는 백시니아 바이러스가 안전성과 효율성 면에서 더 뛰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매개체로 사용할 경우 여러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백시니아 바이러스는 지놈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COVID-19 바이러스 스파이크 프로테인(spike protein)의 다양한 부분을 탑재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항원성이 커지게 돼, 인체에 주사할 경우 COVID-19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생성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되고, COVID-19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빈도가 적은 부분을 viral vector에 탑재하게 되면,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효과 있는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신라젠은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하는 백신 개발 전략을 북미지역과 국내로 이원화(Two-Track)해 성공률과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신라젠 관계자는 " 일정이 앞당겨진 Fast-Track 전략은 '자가복제 바이러스 벡터(Replicating Viral Vector)'를 기반으로 한 백신 물질 개발로, 이렇게 만들어진 백신 물질을 체내 주입하면, 독성이 없는 코로나 항원이 최대한 많이 복제되어 동시에 이를 공격하는 항체 생성도 많아지는 기전"이라고 밝혔다.

또 " 백시니아 바이러스의 유전자재조합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며 “조속한 개발 진행 및 상용화로 전 세계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해 한국 바이오기술 우수성을 알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